KCC, 베트남 등 동남아 도료 시장 공략 나서... 자동화 시스템 구축 2배 이상 확대

사회 / 박민희 기자 / 2019-01-28 10:15:42
  • 카카오톡 보내기
하노이법인-트리밍 (사진제공=KCC)
하노이법인-트리밍 (사진제공=KCC)

[일요주간=박민희 기자] KCC(대표 정몽익)가 베트남 친환경 도료 시장 공략을 위해 하노이에 위치한 도료 생산 공장에 친환경 도료로 각광받는 분체도료 생산시설을 증설하고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한 베트남 시장 확대에 적극 나서는 등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지난 25일 KCC는 베트남 하노이 법인에 분체도료 생산을 위한 공장 증설을 마치고 본격적인 상업운전에 앞서 무재해와 사업 번창을 기원하는 안전기원제를 실시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태선 생산총괄, 정치욱 분체도료 영업 이사, 문병원 KCC 호치민 법인장, 김병태 KCC 하노이 법인장 등 회사 임직원을 비롯한 주요 내빈들이 참석했다.


KCC 하노이 법인은 제품 다각화를 통한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해 신규 투자를 단행, 분체도료 생산공장을 증설하기로 하고 효율적인 자동화 생산 시스템까지 구축해 생산 능력을 이전보다 2배 이상 확대시켰다. 특히 앞으로 생산하게될 분체도료는 기존의 건축, 자동차, 플라스틱 도료에 이어 KCC 하노이 법인의 차기 주력 제품으로 키운다는 전략이다.


분말 형태의 친환경 분체도료는 제조 과정에서 공업용 폐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장용 스프레이건으로 분사한 뒤 남은 도료를 다시 회수해 사용할 수도 있다. 도막의 내구성이 우수하며 정전 도착도장 시스템으로 도장돼 모양이 복잡하거나 면적이 넓은 곳에 쉽게 칠할 수 있어 가전제품, 건축자재, 강관, 자동차, 변압기 등 다양한 곳에 적용된다. 일반적인 액상 도료보다 판매 가격이 높아 수익성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KCC 하노이 법인은 최근 친환경성에 대한 시장의 니즈가 늘어남에 따라 휘발성 유기 용제를 포함하지 않은 분체도료가 주목받고 있는 만큼 이를 중심으로 동남아 도료 시장 공략에 가속도를 붙인다는 방침이다.


또한 확대된 생상 능력을 기반으로 스마트폰 주변기기와 액세서리, 가전제품, 자동차 내외장재에 적용되는 다양한 전자재료 플라스틱 도료 외에 자동차OEM도료 등 라인성 도료까지 품목을 다변화하고 납기에 신속하게 대응해 시장 수요를 확대할 계획이다.


KCC 관계자는 “최근 베트남에 이른바 박항서 감독 붐이 일면서 한국 기업에 대한 베트남 국민들의 인식 또한 매우 우호적으로 바뀌고 있다”며 “이에 힘입어 베트남 현지로 진출하려는 한국 기업들도 꾸준히 늘고 있고 도료 수요처도 다양하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생산시스템을 갖춘 KCC 하노이 법인은 올해 본격으로 생산하는 친환경 분체도료를 새 주력 제품으로 삼아 베트남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