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고객 돈이 삼성 오너일가 지배력 유지 원천”...무늬만 ESG 경영?

e금융 / 김완재 기자 / 2023-02-06 14:09:55
  • 카카오톡 보내기
-소비자주권 “오너 일가의 계열사 지배력 원천은 고객이 납입한 삼성생명 보험료”
-국회, 삼성생명법 추진 “현행 보험업법은 주주·소비자보다 오너 일가의 이익 대변”
▲지난해 11월 23일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 금융정의연대 등의 공동주최로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700만 삼성 주주 지킴이법! 삼성생명법(보험업법 개정안) 토론회가 열렸다.(사진=newsis)

 

[일요주간 = 김완재 기자] “삼성생명이 고객이 낸 보험료로 삼성 오너 일가의 그룹 지배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6일 시민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을 달성하기 위한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행태라며 삼성그룹의 지배구조를 이 같이 강력 비판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삼성생명은 2012년부터 지속 가능한 경영을 하겠다고 공언해 왔지만 주주 및 소비자와의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며 “고객의 보험료로 오너 일가의 그룹 지배력을 유지한다면 지속 가능한 경영이 결코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어 “삼성그룹의 지배구조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 삼성 오너 일가가 삼성물산 지분의 31.3%, 삼성생명 지분의 19.1%, 삼성전자 지분의 4.8%를 소유하고 있다”며 “여기에 삼성생명은 삼성전자의 최대주주고, 삼성물산은 삼성생명의 최대주주인 거미줄처럼 얽혀 있다. 오너 일가가 삼성그룹 전 계열사에 걸쳐 광범위한 경영권을 손에 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과거 순환출자로 이루어진 삼성그룹의 지배구조보다는 조금 나을지는 몰라도 여전히 구시대적인 방식이다”며 기업의 주인은 주주인데 주주의 이익보다는 오너 일가의 이익을 대변하는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고 꼬집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삼성그룹 지배구조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계열사는 삼성생명이다. 생명보험업은 그 특성상 장기보험 가입자가 많아 축적된 거액의 수입보험료로 안정적 자산에 투자해 수익을 낸다”며 삼성생명은 우리나라 최대 보험사로 자산규모가 314조 원에 달하고 이 중 31조 원(약 10%)은 삼성전자 주식으로 소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지배구조가 가능한 했던데는 ‘보험업법’에서는 보험사가 계열사 주식을 총자산의 3% 이내(취득원가 기준)로 소유하도록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국회에서는 보험사가 보유한 계열사 주식을 취득원가가 아닌 시가로 평가하도록 하는 ‘보험업법’ 개정안(이하 삼성생명법)을 논의 중이다. 개정안이 통과된다면 삼성생명은 삼성전자 주식의 대부분을 매도해야 한다. 이는 오너 일가가 삼성전자 및 기타 계열사에 대한 지배력이 약화되는 결과로 이어진다. 

 

▲서울 서초동 삼성생명 사옥.(사진=newsis)


보험소비자에게 돌아가야 할 보험금이 지배구조 유지에 쓰여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지배구조의 건전성 확립은 매년 삼성생명이 실천하겠다고 스스로 제시한 목표이지만 근본적인 부분은 매년 바뀌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삼성생명은 2012년부터 매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해 왔고 2022년부터는 ESG 보고서로 명칭을 바꾸는 등 지배구조의 건전성 확립은 매년 삼성생명이 실천하겠다고 스스로 제시한 목표이지만 근본적인 부분은 바뀌지 않았다는 것이다. 

 

앞서 ‘삼성생명 2022 ESG 보고서’에서는 ‘지배구조 건전성 확립’을 9개 약속 중 하나로 제시했다. 세부 실천과제로는 주주권리보호 강화, 주주·투자자와의 소통 강화 등을 들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삼성생명이 보험금을 충실히 지급하지 않으며 지배구조를 유지하려 한다는 점도 문제점으로 지적했다.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삼성생명의 작년 상반기 보험금 부지급률은 0.87%로 생명보험업계 평균인 0.79%보다 높다”며 보험소비자에게 돌아가야 할 보험금이 삼성그룹의 불건전한 지배구조 유지에 쓰이고 있는 셈이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삼성생명은 말로만 ESG 경영, 투명금융을 외칠 것이 아니라 실천해야 한다”면서 그러지 않는다면 삼성생명이 매년 내놓는 ESG 보고서는 공허하고 의미 없는 말들의 나열에 불과할 뿐이다”고 일갈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