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공공분야 드론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2019년도 공공분야 드론 조종인력 양성사업’을 착수한다고 25일 밝혔다.
이 사업은 2017년 12월 발표한 드론산업발전 기본계획에 따라 추진된다. 초기시장으로 육성 중인 공공분야의 드론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해 지난해 처음 편성·착수했다.
![]() |
▲ 2019년 임무특화 교육 분야. (국토교통부 제공) |
임무특화형 교육이란 공공분야에서 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 능력을 배양하는 교육이다. 기본 비행교육에 영상편집·가공, 재난지역 특수 비행과 고난이도 시설물점검 등 업무능력을 배양하는 직무교육의 하나다.
국토부는 사업용 드론시장의 초기수요를 국방·치안·환경·안전·측량 등 다양한 공공분야에서 2021년까지 4000대 수준으로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드론 조종이 어렵거나 획득한 영상을 가공하려 해도 전문성 부족으로 업무에 즉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현장에서 업무에 드론을 활용할 때 요구되는 능력에 알맞게 교육과정을 개발해 시행하는 일종의 신산업 특화 직무교육을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임무특화 교육은 전통적인 공공업무와 드론이라는 다재다능한 업무수단 간 융합을 통해 효과적·효율적으로 업무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고 밝혔다.
교육은 기본소양인 드론 비행조종교육을 우선 실시한다. 그리고 조종능력을 갖춘 대상자에 대해 SW 조작 등 고도화된 업무능력을 배양하는 임무특화교육을 추가로 진행한다.
과정은 교육대상 기관의 소속직원(업무전문가), 드론 전문교육기관의 비행전문가, 교통안전공단의 교육전문가 등의 다양한 참여를 통해 개발될 예정이다.
특히 가상현실(VR) 콘텐츠를 활용해 화재·오염·특수지형 등 현실에서 갖추기 어려운 환경을 가상으로 구현하고 교육을 할 계획이다.
지난해 소방·경찰·해경·국토조사 등 4개 분야의 임무특화 교육과정을 개발해 100여 명을 대상으로 했다면 올해는 국가기관·지자체·공공기관의 교육수요 급증으로 2배 수준인 10개로 확대한다. 교육대상 인력도 3배 수준인 300여 명으로 늘렸다.
무엇보다 미세먼지 측정 등 환경 분야를 비롯한 교통·산림·농업분야 등이 올해 처음으로 임무특화교육을 할 예정이다.
오원만 국토부 첨단항공과 과장은 “지난해 올해 예산을 편성할 때보다 드론활용이 확대되며 애초 예산규모보다 교육수요가 10배 이상 제출되는 등 드론활용에 대한 뜨거운 열의를 느낄 수 있었다”며 “올해 다양한 공공분야 기관의 활용도를 제고하고 궁극적으로 드론시장에 선순환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올해 사업이 지난해 1단계보다 더욱 확대될 여지가 있는 1.5단계로 보고 있다”며 “현재 국토부의 교육인프라로 구축 중인 복합교육훈련센터가 내년에 준공되는 대로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한층 업그레이드된 2단계로 확대·발전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