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사장 임명 차질…안전 시스템 ‘공백’
![]() |
▲ 한전KPS 전경 <사진=한전KPS> |
[일요주간 = 강현정 기자] 충남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지난 2018년에 이어 또다시 비정규직 하청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공기업 ‘위험의 외주화’도 문제지만 매년 산업재해가 증가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근본적인 대책 없이 책임 회피에만 급급했던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 2일 쇠막대 절삭 작업중 기계에 몸이 끼여 숨진 50대 노동자 고(故) 김충현 씨가 소속된 1차 하청공기업인 한전KPS가 최근 5년간 산업재해 및 사망사고가 꾸준히 증가해온 것으로 확인됐다.
27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전력설비 정비전문공기업 한전KPS의 산업재해자는 최근 5년간 계속 증가해왔다.
2020년 9명, 2021년 12명을 기록해오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2022년에도 12명, 2023년에는 19명, 지난해에는 24명으로 오히려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 같은 기간 사망자는 총 5명으로, 이 중 3명은 지난해 한 해에 집중됐다.
이러한 산재 및 사망사고 증가는 한전KPS의 관리 소홀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태안화력발전소 내 경상정비공사 부문에서 서부발전이 발주한 하청업체 3곳 중 한전KPS만이 유일하게 재하청업체를 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금화PSC와 두산에너빌리티는 2차 하청업체를 두지 않았다.
경상정비는 발전소 전력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설비를 상시 점검·정비하는 작업이다. 한전KPS는 경상정비공사 내에서도 전기분야 업무는 삼신에, 기계 분야는 한국파워O&M에 각각 나눠 하청을 줬다. 한국파워O&M 소속이었던 김씨는 기계공작실에서 혼자 발전설비 부품을 절삭가공하다 숨졌다.
한전KPS는 김씨 사망사고 17일 만인 지난 19일 김홍연 사장 및 임직원 명의의 사과문을 내고 “공공기관으로서의 책무를 다하지 못하고 이번 사고를 막지 못한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며 “현재 사고 원인 규명과 수습을 위한 관계기관의 조사에 성실히 임하고 있고, 고인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현장 안전에 온 힘을 쏟고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전KPS는 지난해 말 후임 사장을 주총에서 의결했지만 현재 인선이 무산된 상태다. 김 사장은 지난해 6월 임기를 마쳤지만, 후임 인선이 표류하면서 1년 넘게 자리를 지키고 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신임 사장 임명이 이뤄지지 않아 안전 관리에 소홀한 것이 아니냐는 시각이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