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 문화소비쿠폰 이후 소비 트렌드 해부…업종별 이용 행태 뚜렷

e금융 / 김완재 기자 / 2025-09-11 11:05:00
  • 카카오톡 보내기
▲ 업종별 문화소비쿠폰 효과(이미지=신한카드)

 

[일요주간=김완재 기자] 신한카드(사장 박창훈) 빅데이터연구소가 정부의 문화소비쿠폰 지급 이후 업종별 고객 이용 행태를 심층 분석한 결과, 영화·전시·공연예술·숙박 등 전 업종에서 이용이 뚜렷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소비쿠폰은 정부가 지난 7~8월 국민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내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영화, 미술전시, 공연, 숙박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지급한 할인 쿠폰이다.

분석 결과, 공통적으로 쿠폰 사용 직전 주 대비 지급 첫 주에 소비 증가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이후에는 점차 완만한 상승세를 보였다. 이는 소비 진작 효과가 단기간에 집중되는 특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업종별·연령별로 반응 양상이 달랐다. 영화와 공연 분야는 20~30대 여성층의 이용률이 높게 나타난 반면, 숙박 부문에서는 가족 단위 고객과 40대 이상 남성층의 이용 증가가 두드러졌다. 연구소는 이를 통해 문화소비쿠폰이 단순한 할인 혜택을 넘어, 세대별·성별 문화생활 패턴을 드러내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먼저 영화 쿠폰의 경우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씨네큐 등 영화 예매처 4곳의 쿠폰 사용 첫 주(7월 25일~7월 31일)의 전주 대비 이용 건수는 85%, 이용 금액은 42% 늘어났다. 반면 건당 금액은 전주 대비 23% 감소했는데, 이는 쿠폰 사용으로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영화를 관람한 이용객이 평소보다 많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성별 및 연령대별 쿠폰 사용 전주 대비 이용 건수 증가율은 40대 여성이 121.3%, 30대 여성이 108.3%를 기록해 3040 여성의 이용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미술전시 및 공연예술 분야에서 티켓링크, 멜론티켓, 타임티켓, 예스24, NOL 등 온라인 예매처 5곳의 쿠폰 사용 첫 주(8월 8일~8월 14일)의 전주 대비 이용 건수는 7%, 이용 금액은 6% 증가했다. 건당 금액은 전주 대비 3% 감소해 영화 쿠폰과 마찬가지로 많은 이용객들이 쿠폰 사용에 따른 할인 혜택으로 티켓 구매에 대한 부담을 덜었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성별 및 연령대별 쿠폰 사용 전주 대비 이용 건수 증가율은 20대 여성이 20%, 30대 여성이 16%로 2030 여성의 이용 증가가 두드러졌다. 주목할 만한 점은 쿠폰 사용 전주 대비 건당 금액 증가율이 대부분 세대에서 감소했으나, 20대 여성과 60대 여성은 각각 4.8%, 4.2% 높아진 점이다. 이를 통해 20대 및 60대 여성은 할인 혜택이 주어진다면 더 많은 금액을 지불해 고가의 문화예술을 관람하고자 하는 니즈가 있는 소비층임을 추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숙박 쿠폰은 NOL, 마이리얼트립, 스테이앤모어를 포함한 26개 온라인 여행사를 대상으로 쿠폰 사용 첫 주(8월 20일~8월 26일)의 전주 대비 이용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건수는 5%, 금액은 10%, 건당 금액은 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해 숙박 쿠폰의 경우 7만원 이상 상품 예약 시 3만원, 7만원 미만 상품 예약 시 2만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했는데, 쿠폰 사용 첫 주에 할인 폭이 조금 더 컸던 7만원 이상 결제 건의 비중이 37.5%에서 38.8%로 직전주 대비 소폭 증가했다. 쿠폰 사용으로 평소보다 조금 더 높은 금액대의 숙소를 이용한 고객들이 많았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성별 및 연령대별 쿠폰 사용 전주 대비 이용 건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남성은 5060 세대, 여성은 2030과 60대에서 증가율이 7~8%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쿠폰 사용 전주 대비 건당 금액 증가율이 60대에서 눈에 띄게 증가했는데, 60대 남성은 18%, 60대 여성은 9%를 기록하며 특히 남성의 증가율이 두드러졌다. 이는 60대가 개인 및 가족 단위 여행 등 자유롭게 여가를 즐기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했으며, 쿠폰 지급을 통한 소비 활동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세대임을 보여준다.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문화소비쿠폰을 통해 많은 고객들이 문화생활 비용 부담을 경감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별로 소비 개선 효과가 나타난 것을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