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IT] 금융위, 핀테크 인프라 구축 위해 금융권 전반 ‘오픈 API’ 개방

Mobile / 하수은 기자 / 2019-02-22 16:38:32
  • 카카오톡 보내기

[일요주간 = 김완재 기자] 금융당국이 은행권을 비롯해 증권·보험 등 금융 산업 전반의 결제시스템과 금융데이터를 핀테크 기업에 개방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21일 이런 내용이 담긴 금융권 오픈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정책 추진 방향을 내놨다.
 
API란 특정 프로그램의 기능이나 데이터를 다른 프로그램이 접근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한 통신규칙이다. 네트워크상으로 서로 다른 프로그램간 기능·데이터를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폐쇄형(Closed API)은 해당 회사·기관 내부에서만 API를 통한 프로그램 접근이 가능하지만, 공개형(Open API)은 회사·기관 외의 제삼자에게도 API를 통한 프로그램 접근을 허용한다.
 
공개형 API를 금융권에서 이용하면 핀테크 기업도 금융사의 기능·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
 
핀테크 기업으로서는 대규모 설비 투자가 필요하지 않아 낮은 비용으로 혁신적인 금융 상품·서비스를 빠르게 개발할 수 있다.
 
기존 금융사도 API로 연계된 핀테크 서비스를 활용하면 기존 고객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신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다.
 
은행이 P2P(개인간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에 ‘자금관리 API’를 제공하고 P2P업체 고객들을 은행 고객으로 확보하는 식이다.
 
현재 유럽연합(EU), 영국, 일본 등 주요국은 금융 산업의 결제망과 데이터를 핀테크 기업 등에 개방하는 API 개방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EU는 지난해 1월 ‘지급결제산업지침’(PSD2) 개정을 통해 계좌개설기관은 핀테크 기업에 결제시스템 및 데이터를 API로 제공토록 의무화하고 있다.
 
일본은 지난 2017년 5월 ‘은행법’을 개정해 은행에 대해 결제시스템·데이터의 개방에 필요한 오픈 API를 구축하도록 했다.
 
영국은 지난해 1월 은행 계좌정보를 개방하는 오픈 뱅크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지급결제업무규칙’ 개정을 통해 계좌정보 API 개방 의무를 마련했다.
 
국내에서는 지난 2016년 8월 ‘은행권 공동 핀테크 오픈플랫폼’을 구축하고, 16개 은행의 일부 지급결제망과 데이터를 오픈 API로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기준 은행권 공동 오픈API의 이용실적은 월 46만 건에 달한다. 자산관리, 소액해외송금 등 현재까지 32개의 핀테크 서비스가 출현했다.
 
다만 현재까지 API를 통해 제공되는 기능이 다소 제한적이고, 참여 대상이 한정적이며 이용 수수료가 높다는 지적도 있다.
 
은행권은 공동 오픈 API 외에도 핀테크 기업 등과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오픈 API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금융위는 API 개방이라는 국제적 추세에 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현행 API 운영체계를 고도화하기 위해 전반적 개선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은행권 공동 오픈 API는 그 기능과 역할을 대폭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기존 은행권의 참여를 통한 완결성 확보가 중요한 지급결제 분야에서 그 역할을 강화할 예정이다.
 
개별 은행의 API 제공은 참여 은행과 제공 API범위를 지속 확대해 다양한 협업서비스가 출현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장기적으로는 은행권 외에도 증권, 보험 등 다양한 금융산업 전반의 오픈 API 활성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데이터 분야는 기존 금융권, 통신사, 정부·공공기관 등이 함께하는 ‘데이터 표준 API’를 별도로 구축한다.
 
금융위는 “API 운영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해 기술표준화를 추진하면서 정보보호·보안 리스크도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며 “특히 데이터 분야는 정보 유출시 책임 관계 명확화 등을 위해 사업자의 고객인증정보 사용·보관을 제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노력으로 금융결제망과 데이터 분야에서 경쟁과 혁신이 촉진되고 새로운 산업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