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TRI 연구진이 개발한 내비게이션형 e-Call 서비스 단말기. [제공=ETRI] |
[일요주간 = 박남훈 기자] 국내 연구진이 교통사고 발생 시 자동적으로 구조요청을 할 수 있는 긴급 구난 서비스용 단말기를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차량 ICT 기반 긴급구난체계(e-Call) 표준 및 차량단말 개발' 과제를 수행해 긴급 구조 서비스(e-Call)를 지원하는 단말기 7종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콜(e-Call)은 교통사고가 나면 차량 내 탑재된 블랙박스나 네비게이션, 스마트폰 등이 사고를 인식해 관제센터에 차량 위치 등 관련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연구진은 이번 기술로 촌각을 다투는 환자의 골든타임 확보 가능성이 높아져 사망률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ETRI는 지난 2015년부터 팅크웨어㈜, ㈜지아이티, ㈜핸디소프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성균관대학교, (사)한국지능형교통체계협회와 함께 e-Call 서비스 기술 표준 개발 및 애프터마켓용 단말 개발을 진행해 왔다.
이번에 연구진이 개발한 e-Call 서비스는 음성 통신망이 아닌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택해 빠른 사고신고가 가능하고 블랙박스의 사진도 함께 보낼 수 있다.
또 단말기가 사고를 인식, 자동으로 관제센터에 구조신고 정보를 보내고 이 과정에서 탑승자가 구조요청 버튼을 누를 수도 있고 실제 사고가 아니라면 서비스 시행을 거절할 수도 있다.
특히 이번 신기술은 교통사고로 인한 충격을 탐지하는 센서가 내장된 각종 기기를 통해 관제센터는 사고가 일어난 위치정보와 탑승객수, 사고차량의 유종(油種) 등을 손쉽게 알 수 있다.
이와 함께 일정 시간 내 차량의 속도가 큰 폭으로 변하거나 차량 뒤집힘, 바퀴별 회전 상황 등 복합적인 변수를 통해 사고를 판단할 수도 있고 단말 장치가 스스로 초기 설정값을 조절하기 때문에 차량운행이 많아질수록 더 정확한 판단이 가능해 진다.
연구진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를 개발해 e-Call 시스템이 내장돼 있지 않은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토록 했다.
ETRI는 개발된 단말기를 우정사업본부의 택배 차량 21대를 대상으로 충남 금산, 충북 옥천, 영동지역에서 실제 실증도 거쳤다.
현재 개발된 한국형 e-Call 서비스를 통해 국제전기통신연합(ITU) 국제표준 1건을 제정 완료했고 2건이 추가 진행 중이며 관련 표준특허도 확보한 상태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민간에 이전해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사업총괄 책임인 ETRI 김형준 표준연구본부장은 "e-Call 단말 장착을 통해 교통사고 사망률을 크게 낮출 수 있게 됐다"며 "향후 단말 장착을 의무화하는 국내 관련 법제도 정비와 콜백(call back) 기능업무를 수행할 관제센터 구축에도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