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간 국내 누계 조강생산 900배 증가...지난 4월 4억톤 돌파

e산업 / 김영호 기자 / 2012-06-09 21:43:27
  • 카카오톡 보내기

[일요주간=김영호 기자] 자동차와 선박을 만들 때 사용하는 조강생산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누계 수출물량이 지난 4월까지 4억톤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40년간 국내 누계 조강생산은 918배 증가한 11억 3,836만톤으로 나타났다.


제13회 철의 날을 맞아 한국철강협회(회장 정준양, 이하 철강협회)가 발표한 '조강생산실적' 자료에 따르면 73년 이후 우리나라의 누계 조강생산량은 73년 124만톤에서 2012년 4월까지 11억 3,836만톤을 생산해 지난 40년동안 918배 늘어난 11억 3,836만톤을 생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중형승용차 8억 3,703만대를 생산하고, 컨테이너 선박(8000TEU 기준)을 6만 8,700척을 만드는데 사용할수 있는 양이다.

지난 40년간 2,777억 6,000만달러를 수출하고, 2,336만 6,000만달러를 수입해 총 5,114억 2,000만달러의 교역량을 보여 우리나라의 철강교역량은 73년 이후 처음으로 5,000억 달러에 달했다.


철강협회에 따르면 국내 누계조강생산은 포항제철소 1기에서 첫 출선한 73년 124만톤의 조강을 생산하였으며, 86년 1억톤, 91년 2억톤, 94년 3억톤, 97년 4억톤 99년 5억톤, 2002년 6억톤, 2004년 7억톤, 2006년 8억톤, 2008년 9억톤, 2010년 10억톤, 2011년 11억톤으로 평균 1억톤이 늘어나는데 평균 3.6년 걸렸고, 최근 들어서는 2년에 1억톤씩 늘어나는 추세다.


철강협회는 "우리나라 철강수출은 73년 91만 7,000톤을 수출한 이래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해 93년 1억톤, 2001년 2억톤, 2007년 3억톤을 돌파했고, 지난 4월까지 4억톤을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수입 물량은 4월까지 총 3억 6,031만톤으로 수입보다 수출이 4,647만톤 정도 많았다"고 설명했다.


철강협회 오일환 부회장은 “철강업계는 국내 부존 자원부족으로 철광석, 철스크랩 등의 원자재를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수출을 늘려 왔다"며 "자동차, 조선산업 등에 철강재를 공급하여 간접으로 수출하는 양까지 포함하면 철강산업의 수출량은 휠씬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