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30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한정애 의원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부산지방고용노동청 부산동부지청은 올해 3월 부산시 우동에 있는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증축공사 현장에 대한 산업안전감독을 실시했다. 당시 감독관으로는 2명의 산업안전감독관, 1명의 안전보건공단 직원 파견됐다.
여기서 문제로 지적된 부분은 고용노동부가 산업재해 은폐 의혹에 휩싸인 신세계그룹 계열사인 신세계건설을 대상으로 산업안전감독을 하면서 정작 핵심적인 조사는 하지 않았다는 것.
한 의원에 따르면 당시 부산지방고용노동청은 안전표지 미부착만 들춰 내 신세계건설에 벌금 500만 원의 가벼운 처벌 조치만 내렸다.
앞서 사고는 지난 2월 부산 해운대구 신세계백화점 센텀시티점 확장공사 현장에서 발생했다. 당시 인부 조모(42)씨는 건물 2층에서 추락방지 안전망 설치 작업을 하던 중 안전 고리가 안전망 지지대에서 이탈하면서 콘크리트 바닥으로 추락해 사망했다.
사고 직후 유가족은 신세계건설 측의 미흡한 초동대처로 조씨가 사망에 이르게 됐다고 주장했다. 당시 신세계건설 측은 가까운 119에 신고하지 않은 채 상대적으로 거리가 먼 척추전문병원인 지정병원에 연락을 취했기 때문이다. 그 탓에 119구조대는 지나가던 행인의 신고를 받고서야 뒤늦게 현장에 도착해 조씨를 이송하게 됐고 결국 그 과정에서 조씨는 숨을 거두고 말았다.
이후 신세계건설은 산업재해 은폐를 위해 필요한 조치를 미뤘다는 비난을 받았다. 또 애초 사고 원인 역시 회사 측의 안전관리 소홀에 있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이같은 논란에도 부산지방노동청은 건설사의 산재 은폐 정황을 조사하지 않아 부실 조사 논란을 키웠다.
이에 대해 한 의원은 “부산지방노동청은 사고가 난 다음날에야 사업장으로부터 최초 보고를 받았다”며 “늦장 조사가 이뤄진데다 감독마저 하루 만에 끝나는 등 부실 조사를 했다”고 질타했다.
실제로 산업안전보고 집무규정을 보면 최근 1년간 재해가 발생한 사업장에 대해서는 중대재해 방지를 위해 별도 감독을 하도록 규정돼 있다. 하지만 해당 감독은 매년 해빙기 전국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하는 집중 감독의 일환으로써 겨우 하루 만에 종결됐다.
한 의원은 “신세계건설은 부산 외에도 올해에만 서울, 대구 등지에서도 공사 중 안전사고를 냈다”며 “잦은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신세계건설에 대한 노동청의 특별감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지난 7월 말 신세계건설이 건설 중인 동대구역 환승복합센터 공사 현장에서 붕괴사고가 발생해 12명이 부상을 입기도 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