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구경희 기자] 13일 인천 서구 가좌동 이레화학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한 가운데 이정미 정의당 의원은 이번 화재발생을 계기로 사고대비물질을 취급하는 화학공장의 전수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19일 “사업장에서 유기용제 제조·과정 중에 화재가 발생해 공장 전체가 전소했다. 이레화학공장은 폐유, 폐유기용제를 재활용 처리하는 지정폐기물 중간처리업체다. 소방당국은 대응3단계 발령으로 화재를 진압했고 큰 인명피해를 피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 의원은 환경부를 통해 이레화학공장이 유해화학물질 제조업 허가도 받지 않은 무허가 업체임을 확인했다. 그리고 사고대비물질(메틸 알코올 (67-56-1))을 취급하는 업체임에도 불구하고 수량기준 미만으로 위해관리계획서도 작성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
메틸알코올의 물질안전보건자료(MSDS)에 따르면 흡입·섭취 하거나 피부에 흡수 시 치명적일 수 있는 독성물질로 화재가 발생하면 폭발할 수 있는 위험물질이다.
이 의원은 "이레화학공장은 위해관리계획서를 작성하지 않고 노동자 안전을 위한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비치했는지 확인할 수 없었다"며 "그 이유는 최근 5년간 고용노동부가 점검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레화학공장의 종업원 수는 총 9명이고 관련 자격증을 보유한 자가 1명(수질환경기사)뿐이었다"고 지적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 11일 이레화학공장이 폐유기용제 처리능력(약5톤/일)을 초과해 처리한 내역(19톤/일)이 확인됐다. 이는 폐기물관리법 25조(폐기물처리업)을 위반한 사항이며 행정처분(영업정지1개월) 및 과태료 500만원 부과 대상이다. 이번 화재사고로 인해 사고대비물질을 취급하는 업체에 대해서 관리감독이 얼마나 부실한지 드러났다.
이에 이 의원은 “불법업체로 인해 수많은 목숨을 잃을뻔한 대형화재가 발생했다”며 “이번 화재를 통해 인천시와 환경부·노동부의 관리감독이 얼마나 부실한지 드러났다”고 총체적인 관리 부재를 꼬집었다.
이어 “인천시는 화학사고에 대비하는 로드맵을 조속히 작성해야한다“며 "사고대비물질의 대상범위와 신고대상을 넓혀야한다”고 덧붙였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