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0월부터 2년여간 온산제련소에 약 557억 원 투자해 갈륨 회수 공정 신설
갈륨, 반도체와 LED 등 첨단산업 필수 소재지만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 98.7% 차지
▲ 고려아연과 록히드마틴이 미국 현지시간으로 지난 8월25일 게르마늄 공급·구매와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왼쪽부터)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마이클 윌리엄슨 록히드마틴 인터내셔널 사장,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사진=고려아연 제공) |
[일요주간 = 이수근 기자] 고려아연(회장 최윤범)이 중국의 독점적 지위를 깨고 국내 자원 안보를 강화하기 위해 울산 온산제련소 내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하며 반도체·첨단소재 핵심 광물 자립화에 본격 나선다.
고려아연은 전략광물인 게르마늄 생산 시설 구축에 이어 올해 10월부터 2027년 12월까지 약 557억 원을 투자해중국의 수출규제 1호 품목이었던 갈륨 회수 공정을 신설한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고려아연의 전략적 투자 결정은 국내 자원 안보 강화와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소와 핵심 기술진을 중심으로 ‘최신화한 갈륨 회수 기술’ 상용화와 최적화에 성공하면서 공장 신설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돼 충분한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8년 상반기 시운전을 마치고 본격 상업 가동에 돌입하면 연간 약 15.5톤의 갈륨을 생산해 약 110억 원의 이익(갈륨 가격 1kg당 920달러 기준)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갈륨은 반도체와 LED, 고속 집적회로 등 주요 첨단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쓰인다. 이에 우리나라 정부는 자원안보특별법에서 정한 핵심광물 33종의 하나로 갈륨을 지정해 특별 관리하고 있다. 미국 정부도 에너지법에 따라 정한 'Critical Minerals' 목록에 갈륨을 포함해 국가 안보 측면에서 엄격하게 관리한다.
하지만 전 세계 갈륨 생산량 약 762톤의 무려 98.7%(2024년 기준)를 담당하는 중국이 대미 수출을 전면 금지하는 등 통제에 나서면서 갈륨 확보는 주요 국가와 기업에 최우선 과제가 됐다. 이런 상황에서 갈륨 생산을 위한 고려아연의 투자는 기술 자립화를 통한 자원 안보 강화와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등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갈륨 생산을 본격화하면 해당 공정의 부산물에서 또 다른 전략광물인 인듐까지 연간 16톤 이상 추가로 확보할 수 있게 돼 80억 원 수준(인듐 가격 1톤당 5억 원 기준)의 추가 이익까지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듐은 반도체와 재생에너지 등 주요 첨단산업에 쓰이는 희소금속으로 최근 5년간 가격이 약 2배 상승했다.
▲ 최윤범 고려아연 회장(가운데)이 온산제련소에서 생산해 미국 등에 수출하는 전략광물 안티모니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고려아연 제공) |
고려아연은 2024년 기준 연간 약 150톤의 인듐을 생산하며 전 세계 인듐 수요의 약 11%를 책임지는 세계 최고의 인듐 제련기업이다(중국 제외 시 전 세계 1위). 단 국가별 생산량으로 봤을 때 중국이 전 세계 인듐 수요의 약 70%를 담당하기 때문에 다른 전략광물과 마찬가지로 언제든 공급망이 불안해질 우려가 있다.
고려아연 관계자는 "중국의 수출통제와 전 세계적인 공급망 불안, 첨단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각국의 치열한 전략광물 확보전 등으로 국가경제와 안보 측면에서 전략광물의 중요성이 한층 높아졌다"며 "고려아연은 국내 유일의 전략광물 허브로서 해당 분야에 대한 투자와 기술 향상 노력으로 기술 자립도를 높이고 공급망 안정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고려아연이 정부에 국가핵심기술 범위를 확대해 새롭게 지정해줄 것을 요청한 '아연 제련 공정에서 저온·저압 헤마타이트 공정 기술'이 지난 1일 산업통상부가 발표한 '국가핵심기술 지정 등에 관한 고시 개정안’에 최종 포함됐다.
해당 공정 기술은 아연 제련업계에서 희소한 기술로 고려아연만이 유일하게 상용화해 경쟁사들과 차별화에 성공한 기술이다. 해당 기술로 고려아연은 전 세계 아연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으로 발돋움했다. 앞서 지난해 11월 고려아연은 '니켈 함량 80% 초과 전구체 설계·제조 공정 기술'로 국가핵심기술 보유 기업으로 등록됐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노조와 함께한 38년 무분규"…최윤범 고려아연 회장, 온산제련소 찾아 신공장 점검
- 고려아연, 2년 연속 지역사회공헌인정제 최고등급...최윤범 회장 "지속가능한 미래 위한 투자" 강조
- “친환경 경영 성과와 환경보호 노력 탁월” 고려아연, 2025 한국경영대상 ‘환경경영 부문’ 수상
- 고려아연, 헤마타이트·하이니켈 전구체 공정 기술로 국가핵심기술 보유 기업 공식 등재
- "10년째 밑반찬·연탄 나눔"…고려아연, 적십자사와 취약계층 동행
- '아이들과 전기차·드론·무전기 만들기'…고려아연, 울산 덕신초서 21년째 과학 교실
- '비철금속의 거목' 최창걸 고려아연 명예회장의 50년 도전史...자원 빈국에서 '세계 제련 강국'으로
- 고려아연의 신화 세운 최창걸 명예회장 영면…정·재계 추모 행렬 잇따라
- "조직과 국가를 위해 헌신" 故 최창걸 고려아연 명예회장, 정·재계 조문 속 영결식 엄수
- 고려아연, 광복 80주년 맞아 고려인 후손 지원...초록우산에 3500만원 후원
- 고려아연, 전략광물 '갈륨' 공장 신설키로..'글로벌 전략광물 허브' 도약 가속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