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중외제약, 제핏과 협력해 대사질환 신약 개발 가속화

e의료 / 하수은 기자 / 2024-07-10 16:26:10
  • 카카오톡 보내기
인간 유전자와 80~90% 유사성, 제브라피쉬로 신약 파이프라인 확장
제핏과 협력 연구 확대, JW 화합물 기반 대사질환 신약후보물질 발굴
동물실험 대체로 비용 절감 및 신약 개발 속도 향상 기대
▲ 제브라피쉬 치어 제핏. (사진=JW중외제약 제공)

[일요주간 = 하수은 기자] JW중외제약이 열대어 제브라피쉬(zebrafish)를 활용한 신약 파이프라인 확장에 속도를 내며 새로운 기전의 대사성질환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JW중외제약은 제브라피쉬 모델 전문 비임상시험기관인 제핏과 대사질환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계약을 통해 JW중외제약은 비만, 당뇨 등 대사질환 신약후보물질 연구에 제핏의 제브라피쉬 모델을 활용한다. 제핏은 유전자 편집 기술을 적용한 대사성질환 맞춤형 제브라피쉬 모델과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을 지원한다.

양 사는 올해 말까지 새로운 기전의 혁신신약 후보물질 발굴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JW중외제약은 AI(인공지능) 기반 R&D 플랫폼 ‘주얼리’에서 도출한 초기 유효 화합물을 제핏에 전달하며 제핏의 스크리닝 플랫폼을 통해 해당 화합물들의 잠재적 치료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지난해 양 사는 MOU를 통해 협력 관계를 공식화했으며 JW중외제약은 제핏의 제브라피쉬 모델을 통해 자체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적응증 확장 연구를 진행하고 후속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제브라피쉬는 열대 어류로 인간과 유전적 구조가 80% 이상 유사하여 포유류 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비임상 중개연구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높은 번식률과 효율적인 스크리닝 능력을 갖춘 제브라피쉬는 신약 개발 초기 단계에서 특히 유용하며 이를 통해 약물 타깃 확인 및 유효성, 안전성 검증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브라피쉬는 췌장, 근육, 간 및 지방 조직 등 인간과 동일한 대사 관련 기관을 보유하고 있어 대사 연구에 최적의 모델이다.

미국과 유럽의 주요 제약사들은 신약후보물질 발굴 과정에서 제브라피쉬 모델을 광범위하게 활용하고 있다. JW중외제약은 지난해 국내 제약사 최초로 과천시 소재 JW사옥에 특수동물실험실인 ‘제브라피쉬룸’을 조성하고 신약후보물질의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작용 메커니즘을 확인하는 기전 연구에 적극 활용 중이다.

이기백 제핏 대표이사는 “제브라피쉬를 활용한 대사질환 관련 약물 스크리닝 기술은 글로벌 기준에서도 앞서 있는 최신 플랫폼”이라며 “JW중외제약과의 공동연구는 제약사와 바이오기업의 혁신 기술의 만남으로 시너지를 창출하는 오픈 이노베이션의 모범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찬희 JW CTO(최고기술책임자)는 “이번 제핏과의 협력으로 제브라피쉬, AI, 오가노이드 등 비동물계 모델을 활용한 신약 연구는 기존 방법보다 더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JW중외제약은 자체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새로운 모달리티(치료 접근법) 확장을 위해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전략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국내외 바이오기업의 기술을 결합해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장하고 R&D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브라피쉬, 인공지능(AI), 오가노이드 등 관련 R&D 플랫폼을 보유한 바이오기업들과 다양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JW중외제약, 통풍치료제 말레이 임상 3상 승인...글로벌 통풍 신약 기대
JW바이오사이언스, 마이크로디지탈과 국산 고감도 현장진단기기 사업 본계약 체결
JW중외제약, A형 혈우병 신약 '헴리브라' 1세 미만 환자 대상 약효·안전성 입증
JW중외제약, 美 통풍치료제 신약 글로벌 임상 3상 지속 권고
JW중외제약, 개량신약 '리바로젯' 출시 2년 누적 매출 1천억원 돌파
JW신약, C&C신약연구소와 CAR-NK 항암 세포치료제 개발 '맞손'
JW그룹, JW홀딩스-JW생명과학 대표이사 변경으로 전문경영인 체제 강화
JW중외제약 '헴리브라', 비항체 소아환자 대상 관절건강 개선 확인
JW중외제약, Wnt 표적 탈모치료제 한국 특허 등록...글로벌 혁신신약으로 주목
JW중외제약, 혈우병 환자 운동법 등 소개 '브라보 캠페인' 진행
JW중외제약, 소비자 권익 보호 시스템 CCM 강화 결의식 개최
JW그룹, 故 이종호 명예회장 1주기 추모식 개최...생명존중·도전정신 기려
JW이종호재단, 발달장애인 작가 한부열 어버이날 개인전 개최
JW중외제약, 美 피부연구학회서 탈모치료제 신약후보물질 전임상 결과 첫 공개
JW중외제약, 당뇨망막병증 신약 전임상 결과 발표...안과 질환 새 치료법 제시
JW중외제약, AI 기반 혁신신약 공동연구 위해 온코크로스와 손잡아
JW중외제약, 혁신신약 '헴리브라' 건강보험 확대 심포지엄 성료
JW중외제약, 일본 제약사와 자궁근종 치료제 라이선스-인 계약 체결
JW중외제약, STAT3 'JW2286' 임상 1상 IND 승인...혁신신약 개발 기대
JW중외제약 C&C신약연구소, '전립선암 치료제' 국가신약개발사업 선정
JW홀딩스, '윤리의 날' 맞아 임직원 대상 준법·윤리경영 실천 결의
JW중외제약, 제핏과 협력해 대사질환 신약 개발 가속화
JW이종호재단, 10회째 맞은 장애 미술인 공모전 'JW 아트어워즈’' 개최
JW이종호재단, 아프리카 의료환경 개선 앞장 유덕종 교수 'JW성천상' 수상
JW신약, 모발 케어 화장품 '모두모아' 심포지엄 성료...탈모 치료 라인업 확장
JW중외제약, AI 기반 R&D 통합 플랫폼으로 혁신신약 개발 박차
JW중외제약, 공식 유튜브 채널에 다양한 R&D 관련 주제 다룬 코너 신설
JW중외제약, 아시아 최대 국제학술대회서 국내 최초 개발 '하이브리드 보육기' 소개
JW신약, 佛 글로벌 제약사 모발 케어 화장품 글로벌 임상 4상 참여
JW이종호재단, 기초과학자 대상 주거비용 지원 장학생 모집
JW이종호재단, JW성천상 시상식 개최...의료 불모지서 헌신·희생 유덕종 교수 수상
JW생활건강, 편백나무 오일 함유 '피톤케어' 차량용 방향제 '블랙' 출시
JW중외제약, 인공눈물 신제품 '프렌즈 아이드롭 아이스' 출시...청량감 극대화
JW바이오사이언스, 추계 학술대회서 생화학 장비-진단시약 품질 우수성 소개
JW중외제약 '헴리브라', 국내 중증 A형 혈우병 소아환자 대상 출혈 감소 효과 첫 입증
JW중외제약, 템퍼스AI와 항암 신약 개발 '맞손'...암 치료제 개발 시너지 기대
JW중외제약, '하이-마미' 보육기 CE MDR 인증 획득...국내외 시장 공략 본격화
JW메디칼, 추계학술대회서 난임 시술 특화 초음파 진단기기 전시
JW중외제약, 고객 최우선 경영 인정받아 소비자중심경영 재인증 획득
JW중외제약, 헴리브라 투약환자 중증도 검사 상용화...혈우병 진단·치료 새 지평
JW중외제약, 혁신신약 ‘타발리스정’ 식약처 품목 허가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