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 불황 속 돋보이는 실적 반등...비석유화학 전략 성과
![]() |
▲ ▲ 금호석유화학 본사.(사진=금호석유화학 제공) |
[일요주간 = 이수근 기자] 금호석유화학이 장기 불황에 빠진 국내 석유화학 업계에서 유일하게 1분기 흑자 전망을 내놓으며 주목받고 있다. 비(非)석유화학 부문 중심의 전략 전환과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혁신’ 기조가 주효했다는 평가다.
금호석유화학은 올해를 ‘변곡점’으로 삼고 전기차 시장 확대에 발맞춘 고기능성 합성고무 SSBR, 친환경 탄소나노튜브(CNT),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등 미래 수요 기반의 소재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SSBR은 전기차 타이어의 내구성과 연비를 동시에 개선하는 핵심소재로 부상하며 시장 점유율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금호석유화학은 전기차용 고기능성 타이어 시장을 겨냥한 SSBR 등 특화 제품에 집중하면서 글로벌 수요 회복과 함께 수익성을 강화해 왔다.
금융정보제공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합성고무 가격 강세와 전 사업부의 이익 개선에 힘입어 금호석유화학은 732억~850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LG화학, 롯데케미칼, 한화솔루션 등 국내 ‘석화 빅4’ 중 유일한 흑자다.
금호피앤비화학은 OCI와의 합작사 ‘OCI-Kumho’를 통해 말레이시아에서 에폭시 원료 생산설비 구축을 추진 중이며 동성케미컬과 협력해 기능성 단열재 PF보드 시장도 확대하고 있다. 금호미쓰이화학은 지난해 MDI 생산능력을 연간 61만 톤까지 늘려 친환경 폴리우레탄 제품 경쟁력을 확보했고 금호폴리켐은 재활용·바이오 소재 기반의 EPDM 고무 개발로 지속가능한 경영에 집중하고 있다.
업계는 공급과잉 및 글로벌 수요 부진이라는 이중고 속에서도 금호석유화학의 차별화된 투자와 기술 기반의 전략이 위기 속 기회를 만든 대표 사례로 보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