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공무원 성비위 2년 연속 폭증..."딥페이크 등 성범죄 단속해야 할 부처서 성비위 늘어 심각"

정치 / 최종문 기자 / 2024-09-19 09:29:15
  • 카카오톡 보내기
2023년 국가공무원 전체 징계건수 2221 건 중 성비위 건수는 316건
유동수 "행안부와 경찰청, 소방청의 성비위 징계건수 많은 점에 심각성 느끼"
▲사진=newsis.


[일요주간 = 최종문 기자] 국가공무원들이 성비위 사건으로 징계 받은 사례가 최근 2년 간 폭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정현 국회의원이 인사혁신처로부터 제출받은 국가공무원 징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공무원 징계 건수가 2221명으로 많이 늘어났고 이 중에서도 성비위 징계 건수는 316건으로 14%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에 따르면 국가공무원 전체 징계 건수는 2021년 2039건에서 2022년 2230건으로 늘어났고 2023년에는 2221건으로 확인됐다. 또한 이 중에서도 성비위 관련 징계는 2021년 238건에서 2022년 313건으로 늘어났으며 지난해에는 최고치인 316건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공직사회 성인지 수준이 날이 갈수록 취약해진 것 아니냐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 최근 5년간 성비위 징계, 교육부 104건(교원포함), 경찰청 72건, 소방청 36건 등 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지난해 국가공무원 성비위는 유형별로 성매매 21건, 성폭력 149건, 성희롱 146건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에 따른 징계 유형은 각각 파면 35건, 해임 69건, 강등 24건, 정직 111건, 감봉 51건, 견책 26건으로 정직 처분이 가장 많았다.

지난해 부처별 전체 징계 현황은 교육부 634건(교원포함), 경찰청 485건, 소방청 298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53건, 해양경찰청 137건, 법무부 82건, 국세청 75건, 대검찰청 46건, 고용노동부 36건, 국토교통부 26건 순으로 밝혀졌다. 이 중 부처별 성비위 징계 현황은 교육부 104건(교원포함), 경찰청 72건, 소방청 36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7건, 해양경찰청 13건, 법무부 13건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간 추이에서도 특정 부처가 계속해서 성비위 문제가 다수 발생하는 경향이 있어 대책 마련이 촉구되는 상황이다. 특히 행정안전위원회 소관인 경찰청과 소방청에서 성비위 징계 건수가 높게 나타났고 행정안전부도 지난해에는 8건의 성비위 징계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경찰청은 5년 전 46건에서 올해 72건으로 크게 늘어났다. 이를 두고 박정현 의원은 최근 늘어나는 교제폭력, 딥페이크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성범죄에 정부 부처가 대책을 마련하기 앞서 집안 단속부터 해야 할 상황 아닌지 정말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박정현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이 2022년 ‘여성가족부 폐지’와 더불어 ‘더 이상 구조적인 성차별은 없다’라고 공언한 바 있는데 이번에 드러난 2년 연속 국가공무원 성비위 폭증은 안일한 대통령의 인식과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하면서 “특히 행정안전위원회 위원으로서 소관 기관인 행정안전부와 경찰청, 소방청의 성비위 징계건수가 많다는 점에 심각성을 느끼고 있으며 이번 국정감사 기간 특단의 대책을 촉구할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6년간 전 세계에 韓 방송 콘텐츠 불법 송출 중국인 입건 [사건PICK]
멸균우유에서 이물질이 나왔어요! [SNS PICK]
하나손해보험, 전체 금융업권 중 배임 금액 최다 불명예 [국감 PICK]
“삼성전자, 스마트폰 독점 구조 속 국내 소비자 역차별 심각”...중고폰 보상 가격 어떻길래 [국감 PICK]
알바천국, 성차별천국?...최근 3년 남여 차별 채용공고 ‘최다’ 불명예 [국감 PICK]
오렌지듄스영종골프클럽 ‘서류조작’·서울지방항공청 ‘직무태만’에 구멍뚫린 항공 안전 [국감 PICK]
[뉴스 Pick] 용인 수지 H아파트 현관 지붕 붕괴...30년 전에도 순살아파트?
[뉴스 Pick] 인천시, 소음·분진 등 민원 발생 구역 주민 집단 이주 시키면서 인근에 새 주거지 허가 '엇박자 행정' 논란
[뉴스 Pick] 식약처, 식품 위생 사각지대 무인판매점 등 집중 점검
[뉴스 Pick] 유영제약 '아트리플러스주' 잠정 판매·사용중지 조치..."환자 부종 등 부작용 발생"
[뉴스 Pick] 고용부, 근로감독 행정에 AI 도입 추진...노동약자 보호 강화 기대
벤츠 딜러사 신성자동차 노조, 대표 등 경찰에 고소...'강제추행·폭행·폭언·세금 포탈' 수사 촉구 [뉴스 Pick]
"신한은행 해외 부동산펀드, '고객서명 위조' 논란 속 손실 눈덩이...금감원 조사 착수" [뉴스 Pick]
소비자원, 콘택트렌즈 세정액 미생물 부적합 제품 4개 적발..."소비자 요청시 환불" [뉴스 Pick]
저신용등급 서민 등 대상 살인적 이자 뜯는 불법사채 기승...'불법사채 근절법' 발의 주목 [뉴스 Pick]
박정현 "조지호 경찰청장 후보자, 차남 편법 증여 덮기 위해 차용증 위조 의혹" [뉴스 Pick]
"위탁택배원 휴가철, 택배 없는 날?...집배원에 택배 전가" [뉴스 Pick]
급변하는 기후변화에 농어업재해 피해 눈덩이...'농어업재해기금 설치법' 주목 [뉴스 Pick]]
자생한방병원 한약 '청파원' 건강보험 급여 지급 논란...특혜 의혹 보도에 복지부 "사실 아냐" [뉴스 Pick]
한진택배 물류센터 덮친 노동자 온열질환 사고 재발방지 대책 있나?···“노동부 폭염대책 권고사항일 뿐” [뉴스 Pick]
사회·경제적 취약청년들 지원 미비..."자립지원법 등 통합적 정책 시급" [뉴스 Pick]
가스안전공사 前연구원들, 연구비 5억 원 카드깡 꿀꺽 '징역형' [뉴스 Pick]
락앤락 덮친 '부당해고' 판정, 지노위 이어 중노위까지 '복직명령' [뉴스 Pick]
대형가전마트 퇴사 매니저, 직원 행세하며 사기 행각..."피해자만 20여 명" [뉴스 Pick]
국가공무원 성비위 2년 연속 폭증..."딥페이크 등 성범죄 단속해야 할 부처서 성비위 늘어 심각"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