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 개발 성과… 국내 희귀의약품 지정 획득

e의료 / 하수은 기자 / 2025-09-05 16:36:56
  • 카카오톡 보내기
▲ GC녹십자 전경(사진=GC녹십자)

 

[일요주간=하수은 기자]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자체 개발 중인 산필리포증후군 A형(과제명: GC1130A) 치료제가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로부터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지정은 미국 FDA, 유럽 EMA에 이은 세 번째 성과로, 글로벌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 기업으로서 입지를 한층 강화하게 됐다.

국내 희귀의약품 지정은 △유병 인구 2만 명 이하의 질환에 사용되는 의약품 △적절한 치료 대안이 없거나 기존 치료제 대비 안전성과 유효성이 현저히 개선된 의약품에 부여된다. 지정 시 품목허가 신청 전 사전 검토 수수료 감면, 조건부 허가 신청 자격 등 다양한 지원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상용화 과정에서의 속도감이 기대된다.

산필리포증후군은 리소좀 축적 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의 일종으로, 소아 약 7만 명당 1명 비율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2~5세부터 언어 발달 지연 및 발달 정체가 나타나며 이후 인지 기능 저하, 운동 능력 약화, 호흡기 문제가 발생해 생명에 심각한 위협을 준다.

현재까지 승인된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는 없으며, 증상 완화를 위한 재활 치료만 이뤄지고 있어 환자들의 미충족 의료 수요가 매우 높다.

GC녹십자는 해당 치료제를 뇌실투여(intracerebroventricular, ICV) 제형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 방식은 약물을 뇌실로 직접 투약하기 때문에 중증 환자군의 인지 기능 개선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2024년 발표된 GC1130A의 비임상 결과에서 ICV 제형이 척추강 내 직접 투여(IT) 대비 최대 47배 높은 약물 전달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

GC1130A는 현재 미국, 한국, 일본에서 임상 1상 진행 중이다. 회사 측은 이 치료제를 신속히 개발해 5년 내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허은철 GC녹십자 대표이사는 “국내 희귀의약품 지정으로 개발 속도가 한층 빨라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GC1130A가 산필리포증후군 환자들의 미충족 의료 수요를 해소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GC녹십자 지씨플루, 태국 독감백신 입찰 전량 수주...매년 수출국 확대
GC녹십자, 스프레이형 비염치료제 '콜즈록 나잘스프레이' 출시
'창립 57주년' GC녹십자 "과감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혁신 위해 노력"
GC녹십자, 노벨티노빌리티와 노인 실명 유발 치료제 공동연구개발 계약 체결
GC녹십자-넥스아이, 치료 후 재발한 암 치료 면역항암제 혁신 신약 공동개발
GC녹십자-동아ST, mRNA-LNP 기반 만성염증질환 치료제 공동연구 협약 체결
GC녹십자, 임직원 대상 공정거래 아카데미 개최…윤리경영 강화 나서
한미약품, 저용량 고혈압 3제 복합제 허가 신청...‘제2 로수젯’로 주목
GC녹십자, 최영일 Discovery&Explorer Unit장 영입...신약 연구개발 매진
GC녹십자, 소염진통제 '탁센 레이디' 대용량 30캡슐 출시
한미약품-GC녹십자, 희귀질환 파브리병 혁신신약 국내 임상 1/2상 IND 승인
한미약품, '제4회 임성기연구자상' 서울대 최형진 교수 '대상' 수상
한미약품, 작년 1조 4955억원 매출로 최고 실적 경신…로수젯 2000억원 돌파
GC녹십자, 희귀질환 '리소좀 축적 질환' 치료제 개발 동향 공유
한미약품, 위암 혁신신약 임상 2상서 '완전관해' 확인
한미약품, 코막힘 해결 코감기약 '코앤쿨S' 코감기·비염 증상 완화
한미약품, 신약개발 최고 권위 '임성기연구자상' 시상식 개최
한미약품, 삼성바이오에피스와 파트너십 구축...골다공증 치료제 판매 협약 체결
한미약품, 한국여자의사회와 공동 제정 '젊은의학자학술상' 차윤진 교수 선정
GC녹십자, 세계 최초 단백질 기반 탄저백신 국내 허가 획득…국산 신약 39호 등극
한미약품, 신약개발부터 ESG까지…박재현式 리더십이 만드는 변화와 도약
GC녹십자, 미국 학회서 면역결핍 질환 치료 '알리글로' 기술력 입증
한미약품, 위장관 개선제 '모사잘서방정' 출시...소화기 치료제 시장 공략
GC녹십자·한미약품, 신약 파브리병 치료제 글로벌 임상 분격 착수
GC녹십자, 2025~2026 인플루엔자 백신 입찰 1위…국가예방접종 안정 공급 지속
GC녹십자, 혈우병 전문 심포지엄 개최…통합 치료 전략 모색
GC녹십자 수두백신 '배리셀라주', 베트남 품목 허가 획득…동남아 시장 공략 본격화
GC녹십자, 수두백신 ‘배리셀라주’ 2도즈 임상 3상 태국 IND 신청
GC녹십자, 헌터증후군 뇌실투여 치료제 ‘헌터라제ICV’ 국내 허가 신청
GC녹십자, 국내 첫 WHO GMP 실사 ‘서면 심사’로 대체 승인
GC녹십자, 메가존클라우드와 손잡고 AI 품질문서 작성 혁신 추진
GC녹십자, 자체 개발 LNP 플랫폼 기반 희귀질환 비임상 성과…국제 학술지 등재
GC녹십자,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 개발 성과… 국내 희귀의약품 지정 획득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