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GC녹십자 본사 전경(사진=GC녹십자) |
[일요주간=하수은 기자] GC녹십자(대표 허은철)는 코로나19 mRNA 백신 후보 물질 ‘GC4006A’의 국내 임상 1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22일 밝혔다.
GC4006A는 지난 4월 질병관리청(질병청)이 주관하는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지원사업’에 GC녹십자가 선정되면서 개발 속도가 가속화됐다. 질병청이 2028년까지 mRNA 백신 국산화를 목표로 하는 만큼, 회사는 이번 개발에 연구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회사는 이번 임상 1상에서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안전성과 면역원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연내 임상 1상 IND 승인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내년 초 첫 투약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전 비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GC4006A는 기존 상용 백신과 유사한 수준의 체액성 항체 반응을 유도하는 동시에, 바이러스 감염 세포를 공격하는 세포성 면역 반응도 효과적으로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GC4006A는 GC녹십자가 자체 개발한 mRNA-LNP(Lipid Nanoparticle) 플랫폼의 성과물이다. 회사는 2019년부터 진행한 mRNA-LNP 연구를 통해 mRNA 의약품 개발 전 과정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했다. GC녹십자는 이번 임상을 통해 플랫폼 효능이 검증될 경우, 향후 새로운 팬데믹 발생 시 100일 이내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재욱 GC녹십자 R&D부문장은 “국내 제약사 중 mRNA 의약품 개발을 위한 end-to-end 공정을 내재화한 것은 자사가 처음”이라며 “코로나19 mRNA 백신을 시작으로 해당 플랫폼을 다양한 질환 영역으로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GC녹십자는 mRNA-LNP 플랫폼을 △희귀 유전 질환 △만성 염증 질환 △항암 면역 치료제 △백신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해당 플랫폼을 활용한 글로벌 제약사와의 공동 개발 및 기술 이전 가능성도 탐색하고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GC녹십자 수두백신 '배리셀라주', 베트남 품목 허가 획득…동남아 시장 공략 본격화
- GC녹십자, 수두백신 ‘배리셀라주’ 2도즈 임상 3상 태국 IND 신청
- GC녹십자, 헌터증후군 뇌실투여 치료제 ‘헌터라제ICV’ 국내 허가 신청
- GC녹십자, 국내 첫 WHO GMP 실사 ‘서면 심사’로 대체 승인
- GC녹십자, 메가존클라우드와 손잡고 AI 품질문서 작성 혁신 추진
- GC녹십자, 자체 개발 LNP 플랫폼 기반 희귀질환 비임상 성과…국제 학술지 등재
- GC녹십자, 산필리포증후군 치료제 개발 성과… 국내 희귀의약품 지정 획득
- GC녹십자, 독감백신 ‘지씨플루’ 누적 생산 4억도즈 돌파…글로벌 4억명 접종 규모
- GC녹십자, 팬데믹 대비 mRNA 백신 개발 속도… GC4006A IND 제출
- GC녹십자, KSBB-AFOB 2025서 ‘난발현 단백질 세포주 개발’ 연구 발표
- GC녹십자, 창립 58주년 기념식 경기도 용인 본사서 개최
- GC녹십자, 배리셀라주 2회 접종 임상 3상 태국 FDA 신속 승인…글로벌 표준 확보 청신호
- 지씨셀, CD5 표적 CAR 면역세포 국내 특허 획득...차세대 암 치료 혁신 기술 확보
- GC녹십자, AI로 '혈우병 관절병증' 예측…국내 첫 환자 맞춤형 모델 개발
- GC녹십자, 창사 이래 첫 분기 매출 6000억 돌파..."알리글로 효과 톡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