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주간 = 황성달 기자] 납품업자에 판매촉진비용 부당 전가한 홈플러스가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의 제재를 받았다.
공정위는 홈플러스의 대규모유통업법 위반행위에 시정명령과 과징금 4억 6800만원을 부나과하기로 했다고 5일 밝혔다.
공정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2017년 1~12월 기간 락앤락과 쌍방울 등 다수의 납품업자에게 약 7억 2000만원의 판매촉진비용을 부당하게 전가했다.
![]() |
▲ 홈플러스. (사진=공정거래위원회) |
구체적으로 보면 홈플러스는 매출활성화를 위한 각종 할인 행사 등 166건의 판매촉진행사를 하면서 납품업자와 사전에 판매촉진비용부담 약정을 체결하지 않고 최장 25일까지 지연 체결했다. 이 과정에서 홈플러스는 55개 납품업자에게 약 7억 2000만원의 판매촉진비용을 부담하게 했다.
대규모유통업법은 ‘판매촉진비용 부담약정 사전체결’을 통해 대규모유통업자의 납품업자에 대한 일방적인 판촉비용 부담 전가를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공정위는 “이번 사건은 대규모유통업법의 주요 특징 중 하나인 서면주의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유통업계에 경종을 울려준 사례”라며 “앞으로도 대규모유통업자와 납품업자 간 거래에 있어 내용의 불공정성뿐만 아니라 서면주의 등 형식적 요건의 준수 여부에 대해서도 지속해서 감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녹색연, '홈플러스 개인정보 매매' 판결에 반발..."231억 사회환원·사죄하고 보상하라!"
- 홈플러스 고객 수만명 개인정보 털렸나?...변재일 "2년 만에 인지" 보안 허술
- 홈플러스 고객 개인정보 유출 발끈에 변재일 "관리 소홀·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책임" 직격
- 홈플러스, 식품위생 엉망...대형마트 중 위반도 행정심판도 '최다'
- 홈플러스, 관리급 직원에 명퇴 ‘강요’ 불응 시 직급 ‘강등’ 파문
- 고객 폭언에 쓰러진 홈플러스 노동자 산재 인정
- 홈플러스 임일순 대표 사임…실적 부진·노사갈등 악화일로
- 홈플러스 도 넘은 '갑질', 납품업자들에 판매촉진비용 부당 전가
- [풀영상] 마트노조, 이마트·롯데마트·홈플러스 구조조정...'비정규직 등 나쁜일자리 양산' 비판
- 마트노조 "홈플러스 강서점 온라인배송노동자 의식불명...3월 휴무제 변경 노동강도 증가"
- 홈플러스 온라인배송노동자 2주만에 숨져...노조 "운송사 뒤에 숨어 책임 회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