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 "피해자 유족과 합의했고 공장장은 구체적·직접적 주의의무위반 인정되지 않아" 선고
![]() |
▲ 동국제강 비정규직노동자 산재사망사고 해결촉구 지원모임이 2023년 2월 16일 서울 서초동 대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2년 3월 21일 동국제강 포항공장에서 발생한 하청업체 소속 고(故) 이동우 정비노동자 산재사망사고와 관련해 “검찰은 장세욱 동국제강 대표이사를 철저하게 수사해 기소하라”고 촉구했다.(사진=일요주간 DB) |
[일요주간=임태경 기자] 동국제강(대표 장세욱, 최삼영) 포항공장에서 일하다 2022년 3월 사고로 사망한 고 이동우 씨 관련 법원의 1심 선고에 대해 명목상 유죄 의미만 남긴 판결이라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사건번호 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 2024고단94 업무상 과실치사 등)
당시 산재사망사고 관련 책임자들은(동국제강 포항공장 공장장과 현장관리자, 창우이엠씨의 안전보건관리담당자와 관리감독자) 업무상 과실치사 등의 혐의로 기소됐으며 1심에서 모두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이 선고됐다.
그 외에도 동국홀딩스주식회사(구 동국제강) 측은 벌금 1500만 원, 하청업체인 주식회사 창우이엠씨 측은 벌금 500만 원을 선고받았으며 창우이엠씨 대표이사는 징역 8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 "재판부, 고의성 등 인정 하면서도 솜방망이 처벌"
선고 당일인 지난 6일 오후 고 이동우 동국제강 비정규직노동자 산재사망사고 해결 촉구 지원모임(이하 동국제강 산재사망사고 지원모임)은 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유죄라는 의미만을 남긴 깃털 판결을 개탄한다며 일하다 죽지 않는 안전한 일터, 안전한 사회를 바란다고 호소했다.
![]() |
▲ 동국제강 사망사고와 관련해 유가족과 시민사회단체는 2022년 4월 19일 서울 중구 동국제강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세욱 대표이사의 공개 사과를 요구했다. (사진=일요주간 DB) |
이날 동국제강 산재사망사고 지원모임은 “2022년 3월 동국제강에서 일하다 사고를 당한 고 이동우 님의 죽음과 관련한 재판의 1심 선고가 사고 2년 7개월 여가 지나 오늘 내려졌다”고 운을 뗐다.
이어 “재판부는 원하청 모두에 대해 크레인의 운행정지를 하지 않고 올라가서 일을 하게 하는 등 기본적인 작업절차가 지켜지지 않은 점, 현장에서 이런 방식으로 작업이 이뤄지고 있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제지하지 않아 고의성이 있는 점 등이 인정된다고 하면서도 이렇게 솜방망이 처벌을 내렸다”며 “피해자 유족과 합의를 했고 공장장의 경우 구체적, 직접적 주의의무위반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하는 것 등이 이유였다”며 분통을 터뜨렸다.
그러면서 “원청 동국제강의 대표이사인 장세욱과 김연극은 기소조차 되지 않은 채로 중대재해처벌법은 적용되지 않은 반쪽자리 재판이었다”며 “원청 경영책임자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은 검찰에 이어 재판부는 포항공장 현장을 총괄하는 공장장에 대해서조차 노동자의 생명과 직결된 현장의 안전보건조치와 관련한 의무를 매우 협소하게 판단하고 있다”고 일갈했다.
◇ "산업재해,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보다는 효율과 기업의 이윤 더 우선시"
이 단체는 또 “중대재해처벌법을 제정했던 취지는 계속되는 산업재해, 중대재해가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보다는 효율과 기업의 이윤을 더 우선시하는 기업행태와 점점 더 아래로 흐르는 위험의 외주화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실질적인 책임과 권한이 있는 경영책임자가 책임지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었다”며 “그러나 법을 적용해야 할 검찰과 재판부가 일반적인 형사사건과는 다른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상의 책임 문제를 이전과 다름없이 협소하게 바라보고 말단 관리자들 중심으로 솜방망이 처벌로만 일관하고 있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고 부연했다.
이어 “지난 7월 결심공판 당시 합의하지 않았냐며 유족의 처음이자 마지막 진술의 기회를 가로막은 판사의 행위는 이러한 재판부의 일천한 인식을 여지없이 보여줬다”며 “대구지방법원 포항지원 재판부(형사3단독)는 사람이 죽어도 반성 없는 기업에 유족으로서 책임을 묻고 사과를 요구하기 위한 과정을 단순히 법적 합의의 문제로만 보는 것도 문제지만 법적으로도 형사합의는 하지 않는다고 명시된 내용이 있음에도 이를 이유로 미약한 처벌을 내렸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검찰의 공소내용을 대체로 인정하고 형량 역시 검찰의 구형과 비교해 큰 차이 없는 판결이기에 항소를 하지 않을 것이 우려된다”며 “검찰은 진짜 책임자를 기소하지 않은 오류를 되돌리지는 못하더라도 조금도 줄지 않고 이어지는 산재사망자들과 그 유족이 겪을 고통을 직시하고 반드시 항소하고 제대로 책임을 물을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동국제강 오너일가 보수 인상…직원들과 임금격차 큰 폭 증가
- 동국제강 잇단 중대재해에도 대주주 장세주 회장 법적 책임 안져, 왜?
- 동국제강, 수년 째 노동자 사망 참변...장세욱 사법처리 여부 주목
- 동국제강, 산재 사망에도 책임 회피 급급…임신한 아내 오열 [리얼줌]
- 류호정 "동국제강, 중대재해 상습 발생...대형 로펌 뒤에 숨지말라"
- 동국제강 사망사고 유족, 장세욱 사과 요구..."책임지지 않고 면책에만 관심"[리얼줌]
- 산재사망 유족 “동국제강, 죽음의 용광로로 노동자 떠밀지 말라” 성토
- 동국제강 산재사고 지원모음 "모 간부, 장세욱 회장에 질문 하려던 기자 상대로 폭행"
- 88일 만에 사과한 동국제강…산재 사망 유족 “좀 일찍 하지 ‛오열’”
- 동국제강 노동자 사망…부산공장 관라자들 1심서 집행유예
- 동국제강 사망사고 검찰 늑장 수사 비판…“중대재해 위반 장세욱 대표 기소하라” [리얼줌]
- 동국제강 노동자 사망…장세욱 대표 책임론 재점화
- 동국제강 장세욱 고소 당한 날 산재 사망사고 발생...작년 3월 산재사고 수사 중에 또
- 동국제강 비정규직 산재사망 1심 '집유' 선고...노동계 "유죄 의미만 남긴 깃털 판결"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