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국제강 포항공장 전경. (사진=동국제강) |
[일요주간 = 김성환 기자] 정의당 강은미 국회의원이 지난 23일 노동자 산재 사망 현장인 포항 동국제강 공장을 찾았다.
이날 방문에는 박충일 정의당 포항시당위원장과 권영국 중대재해전문가넷 공동대표, 김용균 재단 조혜연 활동가가 함께했다.
앞서 지난 21일 동국제강 포항공장에서 일하던 30대 하청 노동자가 고철을 옮기는 천장 크레인을 수리·정비하던 중 추락 방지용 안전벨트에 몸이 감기는 사고로 숨졌다.
이번 사고로 동국제강 대표이사를 맡고 있는 장세욱 부회장이 중대재해처벌법(1월 27일 시행)으로 처벌을 받을 가능성이 제기 되고 있는 상황이다.
동국제강은 지난해 2건, 2020년 1건, 2019년 1건 등 매해 산재사망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1건을 제외하면 사망자는 모두 협력업체 또는 외주업체 직원이었다.
사고 현장에는 사측을 비롯해 고용노동부(대구지방노동청 광역중대재해관리과·포항고용노동지청)가 사고 경위와 현재까지 파악하고 있는 사실관계·문제점을 보고했다.
![]() |
▲지난 23일 동국제강 포항공장 산재 사망사고 현장 찾은 정의당 강은미 국회의원.(사진=강은미 의원실) |
강 의원은 “사측의 설명대로면 작업 중에는 기계의 전원을 끄는 것이 맞는데 작업 준비 중이라 기계의 전원이 켜져 있어 사고가 났다고 한다”며 “또 작업 준비 중이라 동국제강 관계자가 사고 당시 현장에 없었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모든 노동자가 이미 작업 위치에 있었고, 이는 작업을 시작하면서 사고가 난 것으로 봐야 한다”면서 “사측에서 보고하면서 재해의 원인을 노동자에게 돌리는 듯한 발언을 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은 “동국제강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전에도 사망 사건이 계속 발생해왔다”면서 “특히 노동자가 설비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해결해달라고 하는데도 사측에서 설비개선을 안 해서 사망한 사건도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을 계기로 다시는 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작업계획서와 매뉴얼을 확인하는 등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동국제강 오너일가 보수 인상…직원들과 임금격차 큰 폭 증가
- 동국제강 잇단 중대재해에도 대주주 장세주 회장 법적 책임 안져, 왜?
- 동국제강, 수년 째 노동자 사망 참변...장세욱 사법처리 여부 주목
- 동국제강, 산재 사망에도 책임 회피 급급…임신한 아내 오열 [리얼줌]
- 류호정 "동국제강, 중대재해 상습 발생...대형 로펌 뒤에 숨지말라"
- 동국제강 사망사고 유족, 장세욱 사과 요구..."책임지지 않고 면책에만 관심"[리얼줌]
- 산재사망 유족 “동국제강, 죽음의 용광로로 노동자 떠밀지 말라” 성토
- 동국제강 산재사고 지원모음 "모 간부, 장세욱 회장에 질문 하려던 기자 상대로 폭행"
- 88일 만에 사과한 동국제강…산재 사망 유족 “좀 일찍 하지 ‛오열’”
- 동국제강 노동자 사망…부산공장 관라자들 1심서 집행유예
- 동국제강 사망사고 검찰 늑장 수사 비판…“중대재해 위반 장세욱 대표 기소하라” [리얼줌]
- 동국제강 노동자 사망…장세욱 대표 책임론 재점화
- 동국제강 장세욱 고소 당한 날 산재 사망사고 발생...작년 3월 산재사고 수사 중에 또
- 동국제강 비정규직 산재사망 1심 '집유' 선고...노동계 "유죄 의미만 남긴 깃털 판결"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