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제너시스 비비큐 본사 전경. (사진 = 제너시스 비비큐 제공) |
[일요주간 = 조무정 기자] 치킨 전문점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평판 1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BBQ가 1위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대한민국 소비자들이 사랑하는 28개 치킨 전문점 브랜드에 대해서 지난 한 달 간 2023년 12월 11일부터 2024년 1월 11일까지의 치킨 전문점 브랜드 빅데이터 1334만 458개를 분석해 소비자들의 치킨 브랜드에 대한 빅데이터 평판분석을 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분석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빅데이터를 수집해 브랜드에 영향을 끼치는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분석 된다. 치킨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와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분석했다.
올 1월 치킨 전문점 브랜드평판 순위는 BBQ, 굽네치킨, 맘스터치, 60계치킨, 교촌치킨, BHC, 푸라닭, 노랑통닭, 자담치킨, 처갓집양념치킨, 네네치킨, 호식이두마리치킨, 바른치킨, 지코바치킨, 페리카나, 깐부치킨, 또봉이통닭, 또래오래, 부어치킨, 아웃닭, 멕시칸치킨, 땅땅치킨, 훌랄라치킨, 디디치킨, 오븐마루, 순수치킨, 마파치킨, 웰덤치킨 순으로 집계됐다.
1위 BBQ 브랜드는 참여지수 24만 2000 소통지수 51만 6888 커뮤니티지수 79만 301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155만 1902로 분석됐다. 지난 12월 브랜드평판지수 124만 7064와 비교해보면 24.44%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치킨전문점 브랜드평판 2024년 1월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결과 BBQ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치킨전문점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12월 치킨전문점 브랜드 빅데이터 1419만 6434개와 비교하면 6.03% 줄어들었다"며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1.72% 하락, 브랜드소통 3.22% 상승, 브랜드확산 14.66% 하락했다"고 평판 분석했다.
이어 "2024년 1월 치킨 전문점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BBQ 브랜드는 링크 분석에서 '후원하다, 할인하다, 제휴하다'가 높게 분석됐고 키워드 분석에서는 '윤홍근, 치킨대학, 승풍파랑'이 높게 분석됐다"며 "브랜드평판 긍부정분석에서 긍정비율 89.80%를 기록했다"고 브랜드 분석했다.
한편 브랜드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만들어진 지표로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의 참여와 소통량, 소셜에서의 대화량, 커뮤니티 확산도를 알아낼 수 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BBQ, 맛과 건강 생각한 리뉴얼 양념치킨 1달 만에 누적 100만마리 돌파
- BBQ, 중남미 시장 공략 가속화...코스타리카에 새로운 지점 오픈
- BBQ, 연말까지 앱·웹서 해피포인트로 치킨주문 2천원 할인
- BBQ, 가맹점 대상 교차점검으로 품질 일관성 강화
- BBQ 윤홍근 회장 신년사 "승풍파랑(乘風破浪)의 자세로 글로벌 1등 기업 목표"
- BBQ, 치킨 전문점 신년 첫 소비자평판 1위...윤홍근·치킨대학 등 긍정 효과
- BBQ, 인도네시아 학생과 교수 치킨대학 방문...'K-치킨' 조리 과정 체험
- 제네시스 BBQ, 독립운동가 김상옥 박사 항일투쟁 전시회 후원
- BBQ,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서 K-푸드 전초기지 역할 수행
- BBQ, 코스타리카서 차이나타운점 신규 오픈...K-푸드로 현지 입맛 공략
- BBQ, 신메뉴 '바사칸 윙' 출시로 고급화 전략 가속화
- BBQ, 코스타리카 현지 K-치킨 인기 속 매장 잇단 오픈
- BBQ, 우동-돈카츠 '우쿠야 강남역삼점' 열풍...MZ세대·직장인 입맛 사로잡아
- BBQ, 복지시설에 치킨릴레이 기부...4월까지 8천만원 상당 전달
- BBQ 치킨대학, 29년 간 800번째 기수 배출...3만여명 외식 전문가 변신
- BBQ 청계광장점, 유럽풍 핫플레이스로 비즈니스 대관 장소 '각광'
- BBQ, 해외 시장서 K-치킨 대표 브랜드 등극...'신(新)인재경영' 윤홍근 리더십 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