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P300 선택적 분해제, '합성치사' 원리로 특정 암세포만 선택적 사멸
mRNA 플랫폼 기반 STING·p53 면역항암 신약, 우수한 항종양 효과
|  | 
| ▲ 한미약품 R&D센터 정승현 수석연구원(이사)이 글로벌 항암제 병용 전략의 유망한 후보물질로 주목받은 ‘SOS1-KRAS 상호작용 저해제(HM101207)’의 연구 내용이 담긴 포스터를 토대로 참석자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사진=한미약품 제공) | 
[일요주간 = 하수은 기자] 한미약품이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세계적 권위 암 학회 ‘AACR-NCI-EORTC 2025’에서 신규 파이프라인 ‘EP300 선택적 분해제’를 비롯한 차세대 모달리티 기반 항암 혁신신약 5건의 연구 성과를 공개하며 글로벌 항암신약 개발의 새 이정표를 세웠다.
29일 한미약품은 비만 신약 등 대사질환 분야 신약 외에도 기존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차세대 모달리티 분야로 연구 영역을 확장하고 글로벌 신약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는 현지의 평가를 전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22일부터 26일까지(현지시각)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국제 암 학술대회 ‘AACR-NCI-EORTC 2025’에서 ▲EP300 선택적 분해제 ▲SOS1-KRAS 상호작용 저해제(코드명: HM101207) ▲STING mRNA 항암 신약 ▲p53-mRNA 항암 신약 ▲YAP/TAZ-TEAD 저해제 등에 관한 비임상 연구 결과 5건을 포스터에 담아 발표했다.
 
이번 발표에서 화제를 모은 EP300 선택적 분해제는 한미의 신규 모달리티 ‘표적 단백질 분해(TPD)’ 플랫폼 기술을 적용한 항암신약으로 EP300 단백질에 의존하는 암세포 혹은 CBP 유전자에 변이가 있는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합성치사(Synthetic Lethality)’ 원리로 작용한다.
 
EP300과 CBP 단백질은 히스톤 아세틸전이효소 활성을 가진 전사 공동활성화 인자로 정상 세포에서는 상호 보완적으로 기능하지만 CBP 변이 암에선 EP300에 의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구나 두 단백질의 높은 구조적 유사성으로 인해 EP300을 선택적으로 표적하는 약물 개발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EP300 선택적 분해제가 EP300 의존성 세포주와 CBP 변이 세포주에서 항종양 활성을 나타내는 결과를 발표했다. 나아가 전립선암 이종이식(xenograft) 동물 모델에서 기존 1차 치료제와 EP300·CBP 이중 저해제 대비 우수한 종양 억제 효과를 입증했다.
 
연구 결과는 EP300 선택적 분해제의 우수한 대사 안정성과 경구 투여 가능성을 토대로 EP300 의존성 암과 CBP 변이 암에 대한 새로운 치료 옵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집중 조명을 받았다.
다른 발표에서는 지난 9월 RAS 표적 신약개발 국제학술대회에서 글로벌 항암제 병용 전략의 유망한 후보물질로 주목받은 ‘SOS1-KRAS 상호작용 저해제(HM101207)’의 경쟁 약물 대비 우수한 항종양 효력을 확인한 결과가 공개됐다.
 
HM101207는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 돌연변이 중 치명적인 ‘KRAS 변이’가 활성화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신호전달 연쇄 과정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SOS1’ 단백질과 KRAS 간의 결합을 억제하는 새로운 저해제(SOS1-panKRAS Modulator)다.
 
HM101207은 SOS1 단백질과 다양한 KRAS 변이와의 결합을 저해해 신호 활성을 낮춤으로써 암 성장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미 승인된 KRAS G12C 저해제, RTK 저해제 또는 MAPK 신호 경로 저해제 등 투여에 따라 발생하는 내성 유발을 극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HM101207은 다양한 RAS-off 저해제와의 병용요법에서 강력한 항암 시너지 효과를 입증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다른 SOS1 경쟁 약물 대비 우수한 표적 특이성과 약물상호작용(Drug-Drug Interaction, DDI) 최소화 특성을 갖춘 HM101207은 글로벌 항암제 병용 전략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기대된다.
 
한미약품은 차세대 모달리티로 주목받는 ‘mRNA 플랫폼’ 기반 면역항암 신약들의 연구 성과도 발표하며 신약개발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잠재력을 보여줬다.
 
STING mRNA 항암 신약은 STING(Stimulator of IFN Genes) 단백질을 직접 발현시켜 강력한 항암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치료제로, 면역 반응의 시작점을 근본적으로 재구성해 종양에 맞서는 ‘리부트’ 전략으로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했다.
 
일반적으로 면역항암제는 주로 면역관문 억제제를 통해 T세포 기능을 회복시키는 방식에 집중해 왔으며, 기존 STING 작용제는 대사적 불안정성, 세포질 내 전달 효율 저하, 실제 암 조직 내 STING 발현 감소 등의 한계로 인해 치료 효율에 제한이 있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대장암 및 폐암 동물 모델에서 STING mRNA 단독 투여만으로 유의미한 종양 성장 억제 효과와 안전성 프로파일을 확인한 결과를 발표했다. 한미의 STING mRNA 항암 신약은 다양한 항암제와 병용 요법에 적용이 가능해 높은 시너지 효과 발현이 예상된다.
 
또 다른 mRNA 플랫폼 기반 신약인 p53 mRNA 항암 신약은 대표적 종양억제 유전자인 p53 단백질을 세포 내에 정상적으로 발현시켜 암세포의 자멸(apoptosis)을 유도하는 치료제로, 이번 학회에서는 폐암 및 난소암의 동소이식(orthotopic) 동물 모델에서 암세포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결과가 공개됐다.
 
특히 탁셀 계열 화학요법과의 병용에서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냈으며, 아브락산과의 병용을 통해 폐암 및 난소암 동물 모델에서 항종양 활성을 입증했다. 나아가 p53 mRNA 항암 신약은 파클리탁셀 저항성 세포주에서도 유효한 약효를 나타내며 내성 극복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미의 YAP/TAZ-TEAD 저해제는 Hippo 경로 변이 암에서 과도하게 활성화된 YAP/TAZ-TEAD 신호를 조절하며, TEAD의 안정화에 주요 역할을 담당하는 팔미테이트 결합 포켓(PBP)을 표적한다.
 
이번 학회에서는 한미의 YAP/TAZ-TEAD 저해제가 Hippo 경로 변이 중피종 세포주에서 우수한 성장 억제 활성을 보인 연구와, 용량 의존적으로 YAP/TAZ-TEAD 표적 유전자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결과가 보고됐다.
 
또 중피종 이종이식(xenograft) 마우스 모델에서는 한미 저해제의 항종양 효력과 표적 유전자 억제 능력이 확인됐으며, 단백뇨 등 신독성 지표에서도 경쟁약물 대비 우수한 안전성을 나타냈다.
 
최인영 R&D센터장(전무)은 “한미의 신약개발에서 핵심 근간을 이루는 항암 파이프라인은 표적 단백질 분해(TPD)와 메신저 리보핵산(mRNA),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항체-약물 접합체(ADC), 단일도메인항체(sdAb) 등 다양한 모달리티 분야로 혁신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며 “차세대 모달리티의 잠재력을 극대화해 글로벌 혁신신약 엔진에 강력한 추진력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한미약품, ADA 2025서 차세대 비만 신약 공개…비만 치료 패러다임 전환 주도
- 한미약품, 국내 제약사 최초로 8번째 ESG 리포트 발간…지속가능경영 선도
- 한미약품, 디지털 건강 콘텐츠 통해 진정성 있는 ESG 실천
- 한미약품, '체중 감량+근육 증가' 실현한 차세대 비만 치료제 연구결과 공개
- 한미약품, 여성 골다공증 치료제 '오보덴스' 국내 출시...오리지널 대비 13% 저렴
- 한미약품, 의사 대상 혁신 비만 신약 '에페글레나타이드' 브랜드명 공모
- 한미약품 차세대 항암신약, 내성 극복 가능성 비임상서 입증
- 한미그룹, 의약사들과 함께 중증질환 환우에 희망 전달
- 한미그룹, 2분기 '고른 성장' 전문경영인 체제 전환 후 첫 성과
- 한미약품, 의료인 전문 디지털 플랫폼 'HMP' 25주년 맞아 고객 감사 이벤트 진행
- 한미그룹, 폭우 피해 이재민 및 복구 현장 지원…3만 5천여 개 물품 기부
- 한미약품 ‘로수젯’,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서도 우수한 LDL-C 강하 효과 입증
- 한미약품 평택 바이오플랜트, 식약처 GMP 정기 실태조사 '무결점' 통과
- 한미약품, 세계 최초 저용량 3제 복합 항고혈압제 '아모프렐' 출시
- 한미약품, 세계 최초 근육량 증가 비만치료제 'HM17321' 글로벌 임상 진입 청신호
- 한미사이언스·한미약품, 차세대 여성과학기술인과 만남…과학 리더십 강화 나서
- 한미약품 차세대 비만신약, 미국 이어 유럽 시장 공략 본격화
- 한미약품, 인플루엔자 주사제 ‘한미페라미비르주’ 출시… 1회 투여로 증상 완화
- 한미약품, 사우디 타북과 ‘롤론티스’ 공급 계약…중동 진출 본격화
- 한미약품, 멕시코 실라네스와 당뇨 복합제 공급 계약…중남미 시장 공략 본격화
- 한미약품, 근골격계 대표 제품 낙소졸·오보덴스 연구 동향과 치료 전략 발표
- 한미사이언스-서울강동경찰서, ‘안전드림앱’ 캠페인 협력… 어린이 실종 예방·조기 발견 강화
- 한미사이언스·한미약품, 나이스신용평가 'AA-' 획득…제약업계 최고 수준 신용도 달성
- 한미약품, 세계 최초 '근육 증가·지방 선택 감량' 신개념 비만 치료제 개발 본격화
- 한미약품, 세계 첫 근육 증가형 비만 신약 기전 규명…글로벌 학회서 주목
- 한미약품, 국내 최초 GLP-1 기반 신약 당뇨병 3상 돌입…비만 넘어 대사질환 통합 치료 목표
- "초저용량 복합제 혁신 입증" 한미약품, 유럽심장학회서 고혈압·이상지질혈증 통합 치료 새 해법 제시
- 한미약품, 저용량 복합제 혁신 주도…로수젯·아모프렐로 만성질환 치료 패러다임 전환
- 한미약품, 당뇨병 치료 포트폴리오 확대...두번째 SGLT2 억제제 ‘엠파론패밀리’ 출시
- 한미, 연내 에페글레나타이드 허가신청...효능·안전성 확보한 국민 비만약 등장
- 한미약품, 글로벌 암학회서 'EP300 선택적 분해제' 첫 공개…표적항암 신약 새 가능성 제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