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사진=한미약품 제공) |
[일요주간 = 하수은 기자] 한미사이언스의 핵심 계열사 한미약품이 지방만 선택적으로 감량하면서 근육량까지 늘리는 혁신 비만신약 ‘HM17321’의 미국 임상 1상에 돌입하며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했다.
한미약품은 지난 4일(미국 현지시각)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신개념 비만치료제(LA-UCN2, 코드명: HM17321)’의 임상 1상 진입을 위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 받았다고 6일 밝혔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체중 감량 수치에만 방점을 둔 기존 GLP-1 기반 약물들은 근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HM17321이 지방만 선택적으로 감량하는 새로운 기전을 통해 글로벌 비만치료제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로 주목된다.
이번 임상 시험에서는 건강한 성인 및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HM17321의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학, 약력학 특성 등을 평가한다.
HM17321은 단순히 근 손실을 보완하는 수준을 넘어, 기존에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근육량 증가’와 ‘지방 선택적 감량’을 동시에 구현하는 ‘퍼스트 인 클래스(First-in-Class)’ 비만 혁신 신약으로 개발되고 있다.
HM17321은 GLP-1을 비롯한 인크레틴 수용체가 아닌 CRF2(corticotropin-releasing factor 2)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타깃하는 UCN2(Urocortin-2) 유사체로 한미약품 R&D센터에 내재화된 최첨단 인공지능 및 구조 모델링 기술을 활용해 설계됐다.
CRF family는 스트레스 반응 및 스트레스 회복과 관련된 신호 분자로 그 수용체 중 CRF2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타깃하면 지방 감소와 근육 증가, 근 기능 개선 등을 직접 이끌어낼 수 있다는 게 한미약품 설명이다.
HM17321은 단독요법으로도 비만 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기존 인크레틴 계열 비만 치료제와의 병용요법에서도 양적·질적으로 우수한 체중감량 효력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혁신 확장 가능성을 넓혀가고 있다.
대부분의 항체 기반 근육 보존 약물들은 정맥 투여 방식으로 인해 비만 환자들에게 사용 편의성이 떨어진다. 또한, 피하 투여 방식의 기존 비만 치료제와의 병용 시 투여 방법 차이로 인한 한계가 지적되고 있으며 적지 않은 부작용과 근육량 보존에 그칠 뿐 근육의 기능적 개선에 한계가 있는 점 역시 제약 요인으로 제기된다.
이와 달리 HM17321은 ‘펩타이드 기반 물질’로 설계돼 투여 편의성이 높고, 비용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다. 특히 병용 치료제로 개발될 경우 동일한 펩타이드 형태인 기존 인크레틴 계열 약물과 한 번에 투약할 수 있어 환자 편의성이 크게 향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미약품의 비만신약 프로젝트 ‘H.O.P(Hanmi Obesity Pipeline)’는 총 6개 파이프라인으로 구성돼 있으며 다층적 기전과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체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한미약품은 최근 H.O.P의 첫 번째 출시 예정작 ‘에페글레나타이드’의 3상 중간 톱라인 결과를 발표하며 우수한 효능과 확보된 안전성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국민 비만약’으로의 도약을 예고했다.
H.O.P의 두 번째 파이프라인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LA-GLP/GIP/GCG, HM15275)는 지난 7월 미국 FDA에 임상 2상 진입을 위한 IND를 제출하여 승인받아 2030년 상용화 목표로 비만치료 분야에서 ‘베스트 인 클래스(Best-in-Class)’ 신약으로 개발이 본격화됐다.
H.O.P의 세 번째 파이프라인 HM17321은 과체중 및 비만 영장류 모델을 활용한 비임상 및 기전연구 결과를 토대로 임상 성공 가능성을 한층 높여왔으며 한미약품은 2031년 상용화 목표로 전사적 역량을 집중해 임상 개발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최인영 R&D센터장(전무)은 “HM17321은 단순히 살을 빼는 약이 아니라 ‘지방 감량과 근육 증가, 운동 및 대사 기능 개선’이라는 통합적 효능을 동시에 지향한다는 점에서 기존 치료제와 본질적으로 차별화된다”며 “한미약품은 비만을 체중계 위의 숫자 경쟁이 아닌 대사질환의 근본 원인으로 바라보며 ‘환자 중심의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비만 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겠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한미약품 차세대 항암신약, 내성 극복 가능성 비임상서 입증
- 한미약품, 의료인 전문 디지털 플랫폼 'HMP' 25주년 맞아 고객 감사 이벤트 진행
- 한미약품 ‘로수젯’,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서도 우수한 LDL-C 강하 효과 입증
- 한미약품 평택 바이오플랜트, 식약처 GMP 정기 실태조사 '무결점' 통과
- 한미약품, 세계 최초 저용량 3제 복합 항고혈압제 '아모프렐' 출시
- 한미약품, 세계 최초 근육량 증가 비만치료제 'HM17321' 글로벌 임상 진입 청신호
- 한미사이언스·한미약품, 차세대 여성과학기술인과 만남…과학 리더십 강화 나서
- 한미약품 차세대 비만신약, 미국 이어 유럽 시장 공략 본격화
- 한미약품, 인플루엔자 주사제 ‘한미페라미비르주’ 출시… 1회 투여로 증상 완화
- 한미약품, 사우디 타북과 ‘롤론티스’ 공급 계약…중동 진출 본격화
- 한미약품, 멕시코 실라네스와 당뇨 복합제 공급 계약…중남미 시장 공략 본격화
- 한미약품, 근골격계 대표 제품 낙소졸·오보덴스 연구 동향과 치료 전략 발표
- 한미사이언스-서울강동경찰서, ‘안전드림앱’ 캠페인 협력… 어린이 실종 예방·조기 발견 강화
- 한미사이언스·한미약품, 나이스신용평가 'AA-' 획득…제약업계 최고 수준 신용도 달성
- 한미약품, 세계 최초 '근육 증가·지방 선택 감량' 신개념 비만 치료제 개발 본격화
- 한미약품, 세계 첫 근육 증가형 비만 신약 기전 규명…글로벌 학회서 주목
- 한미약품, 국내 최초 GLP-1 기반 신약 당뇨병 3상 돌입…비만 넘어 대사질환 통합 치료 목표
- "초저용량 복합제 혁신 입증" 한미약품, 유럽심장학회서 고혈압·이상지질혈증 통합 치료 새 해법 제시
- 한미약품, 저용량 복합제 혁신 주도…로수젯·아모프렐로 만성질환 치료 패러다임 전환
- 한미약품, 당뇨병 치료 포트폴리오 확대...두번째 SGLT2 억제제 ‘엠파론패밀리’ 출시
- 한미, 연내 에페글레나타이드 허가신청...효능·안전성 확보한 국민 비만약 등장
- 한미약품, 글로벌 암학회서 'EP300 선택적 분해제' 첫 공개…표적항암 신약 새 가능성 제시
- 한미약품, 美비만학회서 비만신약 'HM17321' 공개…글로벌 혁신신약 경쟁력 입증
- 산·학·병 연합으로 AI 신약개발 가속…한미약품, K-AI 국책과제 공동 연구기관 선정
- 한미약품, ‘저용량 병용요법’ 임상 근거 제시…고혈압·이상지질혈증 치료 새 패러다임
- "지방만 줄이고 근육은 키운다"… 한미약품, 美서 혁신 비만신약 임상 개시
- 한미약품, 3분기 누적 매출 1조 1146억 돌파...전문경영인 체제 성과 가시화
- COPD 치료제 시장 재편 예고…한미약품, 베링거인겔하임 주요 제품 국내 공급 맡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