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3분기 누적 매출 1조 1146억 돌파...전문경영인 체제 성과 가시화

e의료 / 하수은 기자 / 2025-10-30 16:25:10
  • 카카오톡 보내기
'로수젯' 등 주력 품목 견조 성장·엔서퀴다 기술이전 수익 반영… 비만·항암 신약개발도 가속
▲ (사진=한미약품 제공)

 

[일요주간 = 하수은 기자] 한미약품이 3분기 만에 누적 매출 1조 1146억 원을 달성하며 외형 성장과 내실 강화를 동시에 이뤘다.


올해 초 구축된 전문경영인 체제를 기반으로 제품, 신약, 수출 등 주요 부문에서 시너지가 본격화됐으며 비만·항암 신약 R&D 성과가 향후 성장 모멘텀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미약품은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으로 매출 3623억 원과 영업이익 551억 원, 순이익 454억 원을 기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8.0%, 29.9%씩 증가했다. 미래 성장 동력 창출을 위한 R&D에는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의 17.2%에 해당하는 623억 원을 투자했다.

한미약품 주력 품목인 개량·복합신약의 견고한 성장과 더불어 길리어드사이언스(Gilead Sciences Inc.)와 체결한 ‘엔서퀴다’ 기술이전 계약에 따른 선급금 수취 등이 이번 분기 수익성 증대로 이어졌다.

특히 한미약품의 3분기 원외처방 매출(UBIST 급여기준)은 전년 동기 대비 3.0% 성장한 2565억 원을 달성했다. 한미약품은 2018년부터 ‘8년 연속 국내 원외처방 매출 1위’ 달성이 유력시되는 등 의약품 제제기술 명가로서의 입지를 더욱 견고히 하고 있다.

이상지질혈증 치료 복합신약 ‘로수젯’의 3분기 원외처방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한 589억 원을 달성했고 고혈압 제품군 ‘아모잘탄패밀리’ 370억 원, 위식도역류질환 제품군 ‘에소메졸패밀리’ 157억 원 등 매출을 올렸다. 당뇨병 신제품 ‘다파론패밀리’는 전년 동기 대비 58.7% 증가하며 블록버스터 진입이 유력히 전망된다.

한미약품 대표 품목인 ‘로수젯’ 명성을 이어갈 신제품들도 3분기에 다수 출시됐다. 세계 최초 저용량 3제 항고혈압제 ‘아모프렐’, 골다공증 치료제 ‘오보덴스’, 주사 제형의 인플루엔자 감염 치료제 ‘한미페라미비르주’ 등이 매출 성장을 견인할 새 동력으로 기대된다.

한미약품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등을 중심으로 복합제 전략을 한층 강화하는 동시에 순환기, 비뇨기, 골대사 등 다양한 치료 영역에서의 브랜드 파워를 지속 확장해 나가고 있다.

R&D 부문에서는 비만신약 프로젝트 ‘H.O.P(Hanmi Obesity Pipeline)’를 통해 창출한 신약개발 성과가 두드러지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선두주자인 ‘에페글레나타이드’의 임상 3상 중간 톱라인 결과는 우수한 효능과 확보된 안전성을 기반으로 ‘국민 비만약’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기대를 모았다.

나아가 회사는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LA-GLP/GIP/GCG, HM15275)와 신개념 비만치료제(LA-UCN2, HM17321)의 상용화 목표 시점을 각각 2030년, 2031년으로 설정하고 전사적 역량을 집중해 임상 개발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신약개발의 또 다른 핵심 축인 항암 분야에서도 다수의 글로벌 학회에서 차세대 모달리티 연구 성과를 대거 공개하며 표적 단백질 분해(TPD)와 메신저 리보핵산(mRNA),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항체-약물 접합체(ADC), 단일도메인항체(sdAb) 등 혁신 기술 역량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중국 현지법인 북경한미약품은 3분기 연결기준 매출 941억원과 영업이익 236억 원, 순이익 212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1.6%, 57.6% 증가하며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였다.

북경한미약품은 계절적 비수기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용 정장제 ‘마미아이’와 성인용 정장제 ‘매창안’을 비롯한 소화기 품목 등의 매출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한미약품 박재현 대표이사는 “3분기는 한미의 독자 기술로 개발한 혁신 제품의 견고한 성장과 글로벌 신약개발 임상 진전이 어우러져 내실을 한층 강화한 의미 있는 시기였다”며 “앞으로도 한미의 브랜드 경쟁력을 토대로 글로벌 진출을 확대하고, 신약 파이프라인의 미래 가치를 한층 더 높여 주주들의 기대와 성원에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한미약품 차세대 항암신약, 내성 극복 가능성 비임상서 입증
한미약품, 의료인 전문 디지털 플랫폼 'HMP' 25주년 맞아 고객 감사 이벤트 진행
한미약품 ‘로수젯’,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서도 우수한 LDL-C 강하 효과 입증
한미약품 평택 바이오플랜트, 식약처 GMP 정기 실태조사 '무결점' 통과
한미약품, 세계 최초 저용량 3제 복합 항고혈압제 '아모프렐' 출시
한미약품, 세계 최초 근육량 증가 비만치료제 'HM17321' 글로벌 임상 진입 청신호
한미사이언스·한미약품, 차세대 여성과학기술인과 만남…과학 리더십 강화 나서
한미약품 차세대 비만신약, 미국 이어 유럽 시장 공략 본격화
한미약품, 인플루엔자 주사제 ‘한미페라미비르주’ 출시… 1회 투여로 증상 완화
한미약품, 사우디 타북과 ‘롤론티스’ 공급 계약…중동 진출 본격화
한미약품, 멕시코 실라네스와 당뇨 복합제 공급 계약…중남미 시장 공략 본격화
한미약품, 근골격계 대표 제품 낙소졸·오보덴스 연구 동향과 치료 전략 발표
한미사이언스-서울강동경찰서, ‘안전드림앱’ 캠페인 협력… 어린이 실종 예방·조기 발견 강화
한미사이언스·한미약품, 나이스신용평가 'AA-' 획득…제약업계 최고 수준 신용도 달성
한미약품, 세계 최초 '근육 증가·지방 선택 감량' 신개념 비만 치료제 개발 본격화
한미약품, 세계 첫 근육 증가형 비만 신약 기전 규명…글로벌 학회서 주목
한미약품, 국내 최초 GLP-1 기반 신약 당뇨병 3상 돌입…비만 넘어 대사질환 통합 치료 목표
"초저용량 복합제 혁신 입증" 한미약품, 유럽심장학회서 고혈압·이상지질혈증 통합 치료 새 해법 제시
한미약품, 저용량 복합제 혁신 주도…로수젯·아모프렐로 만성질환 치료 패러다임 전환
한미약품, 당뇨병 치료 포트폴리오 확대...두번째 SGLT2 억제제 ‘엠파론패밀리’ 출시
한미, 연내 에페글레나타이드 허가신청...효능·안전성 확보한 국민 비만약 등장
한미약품, 글로벌 암학회서 'EP300 선택적 분해제' 첫 공개…표적항암 신약 새 가능성 제시
한미약품, 美비만학회서 비만신약 'HM17321' 공개…글로벌 혁신신약 경쟁력 입증
산·학·병 연합으로 AI 신약개발 가속…한미약품, K-AI 국책과제 공동 연구기관 선정
한미약품, ‘저용량 병용요법’ 임상 근거 제시…고혈압·이상지질혈증 치료 새 패러다임
"지방만 줄이고 근육은 키운다"… 한미약품, 美서 혁신 비만신약 임상 개시
한미약품, 3분기 누적 매출 1조 1146억 돌파...전문경영인 체제 성과 가시화
COPD 치료제 시장 재편 예고…한미약품, 베링거인겔하임 주요 제품 국내 공급 맡는다

댓글 0

댓글쓰기
  • 이 름
  • 비밀번호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