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씨 “손해배상 요구했지만 거절당해”...빵집 점주가맹본사 모두 ‘나 몰라라’
![]() |
▲지난 1월 15일 사고 당일 베이커리 출잎문 앞 모습이다. A 씨가 결빙으로 미끄러진 이후 해당 건물 관계자가 가게 앞에 염화칼슘을 뿌렸다는 게 제보자의 설명이다.(사진=제보자 제공) |
[일요주간 = 조무정 기자] 한 여성 소비자가 유명 베이커리 프랜차이즈 △△점에서 빵을 구매하고 나오다가 미끄러져 부상을 당해 손해배상을 요구했지만 거절당했다.
A 씨에 따르면 지난 1월 15일 오후 5시 39분께 경기도 하남에 위치한 해당 가맹점에서 빵을 산 후 자동문을 열고 나오다가 출입문 앞 경사로로 만든 나무데크가 결빙돼 미끄러져 넘어졌다.
A 씨가 발목을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로 고통을 호소하자 인근을 지나던 시민이 119로 전화해 병원으로 옮겨졌다.
진단 결과 발목이 골절돼 전치 8주 진단을 받았다.
A 씨의 남편 B 씨는 “다음날 전화하니 점주는 보험 든 것도 많으니 보험처리 알아보고 있으니까 치료부터 받으라고 했다”고 했다.
이어 “그런데 병원 수술받고 명절 지나고 연락하니 ‘보험이 안 된다. 배상책임보험도 안 들었다. 보상해 줄 수 있는 게 없다’고 하면서 소송하려면 하라고 했다”며 “다른 소리를 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 |
▲A 씨는 현재 발목 골절로 철심을 박은 상태다. (사진=제보자 제공) |
그러면서 “입구 나무데크는 미끄럼 위험이 많아 관리를 잘해야 하는 데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발생했다”며 “그런데도 관리하는 사람은 책임이 없다고 한다”고 비판했다.
해당 가맹점주는 <일요주간>과의 통화에서 “바빠서 통화할 시간이 없다”며 “매장에 찾아와서 얘기하라”고 말한 뒤 전화를 끊어 버렸다.
가맹본사 담당자 역시 “지금 회의 중이니 문자로 (질의를) 남겨 달라”고 해 해당 사고와 관련 문자 메시지로 질의서를 전달했지만 이후 답변이 없었다.
한편 민법 제758조는 ‘공작물 설치 보존상의 하자로 인해 타인에게 손해를 가할 때는 공작물 점유자가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 자연재해대책법 제27조는 ‘건물의 소유자 점유자 관리자는 건물 주변의 도로에 대한 제설 제빙작업을 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앞서 2019년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은 비 오는 날 노래방 도우미가 노래방에 출입하려다가 계단에서 미끄러져 발목을 다친 것과 관련 계단의 보수·관리를 소홀히 한 책임이 있다며 노래방 주인에게 손해의 50%를 물어주라고 판결한 바 있다.
당시 법원은 “계단은 노래방으로 가기 위한 통로로 사용되고 있었기 때문에 이를 보수·관리할 책임은 노래방 주인에게 있다”며 “사고 당시 비가 많이 와서 계단과 노래방 앞 출입구 부분이 상당히 미끄러웠고, 사고 당일 계단의 미끄러움을 방지하기 위해 특별히 조치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발판의 미끄럼 방지 장치는 사고 당일과 같이 비가 많이 오는 날에는 그 기능을 충분히 하기 어려웠고, 노래방 주인이 발판을 계단 끝부분 바닥에 고정하는 등의 필요한 조치를 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하면 계단의 보수·관리 책임을 소홀히 했다”고 판단했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유명 베이커리 출입문 앞 결빙에 미끄러져 8주 골절…점주·가맹본사 ‘책임 회피’ [제보+]
- 썩은 매트 방치 쉬쉬한 태권도장···학원생 건강 우려 [제보+]
- 가게서 굴 먹고 노로바이러스 감염됐는데 사기꾼 취급 [제보+]
- 동절기 보일러 고장 AS, 소비자 불편은 뒷전?...귀뚜라미 “규정상 관할지역만 가능” [제보+]
- 필리핀항공의 여객기 운항 지연 뭇매...“3~5시간가량 지연되는 일 잦아” [제보+]
- 중고차 성능검사지 ‘이상 없음’?…오일 누유 등 하자 투성 “수리비만 600만원, 사기로 고소할 것” [제보+]
- 명품 구매대행 사기 기승, 중고사이트서 가짜 네이버페이 만들어 수억 챙겨 [제보+]
- 귀뚜라미 스텐 전기온수기 새 제품서 녹물·이물질 나와 논란...회사 측 “교환 해주기로 결정” [제보+]
- 평창 휘닉스파크 스키장 구멍 뚫린 안전관리 논란 보도 그 후 [제보+]
- 농협카드 발급 신청했더니 카드 모집인이 위임장·도장 위조해 주민등록등본 발급 [제보+]
- HK산업개발 공사장서 콘크리트 낙하물에 차량 파손...부천시 “안전 행정지도” 고용부 “난간 등 미비 개선 통보” [제보+]
- BMW 화재사고 리콜 그 후...차주 A 씨 “5년간 매년 냉각기 교체 리콜, 올해 화재 위험에도 무상수리 거부” [제보+]
- ‘노후창고 붕괴’ 집주인, DB손보 상대 1억 3천 청구 소송...감정사 “약 50년 된 주택 추가 붕괴 우려” [제보+]
- 스타벅스 A점 카페라떼 부실 제조?...제보자 “카페라떼 아닌 우유라떼” vs 스벅 “기계 탓” [제보+]
- [제보+] 스타벅스 부산 직영점서 얼음에 파리 박힌 음료 섭취...소비자 "장염·트라우마" 호소
- [제보+] 대명소노그룹 소노벨 비발디파크(대명콘도) 진입로 수십년째 불법점유 논란
- 메가커피 부산 OO점 바퀴벌레 논란...제보자 "테이크아웃 음료서 까만 이물질" 충격 [제보+]
- [제보+] 코레일 자회사 코레일네트웍스 운영 주차장 방지턱 사고 공방...A씨 "뒤늦게 고무발판 설치" vs 코레일 "고객 불편 개선일뿐"
- 현대차 그랜저(GN7) 통풍시트 리콜 후에도 품질 불만 폭발···"통풍시트인지, 열풍시트인지" [제보+]
- 현대건설 시공 평택 고덕국제신도시 신축 상가 천장·벽 곳곳서 누수...부실시공 논란 [제보+]
- [제보+] 소비자 A 씨 "서울장수생막걸리, 강낭콩 정도 크기의 벌레 떠올라"·...사측 "해썹 인증업체로 이물질 들어갈 수 없어"
- [제보+] "대한항공, 이코노믹 승객들 수하물 고의 누락하고도 '실수'라며 뻔뻔하게 거짓말"
- [제보+] '식품위생법 위반' GS25 편의점주 폭언 논란...A 씨 "점주, 다른 고객은 2주 지난 초콜릿 먹고도 '멀쩡' 아픈거 맞냐 협박으로 고소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