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산화율 높인 5호기… 국가 안보·우주산업 경쟁력 차원의 큰 전환점
![]() |
| ▲ 미국 현지시간 2일(한국 시간 2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너베럴 우주군기지에서 대한민국 정찰위성 5호기가 실린 스페이스X사의 팰컨-9 발사체가 발사되고 있다.(사진=스페이스X 제공) |
[일요주간=이수근 기자] 국방과학연구소가 주관하는 군 정찰위성 ‘425 위성’의 마지막 5호기가 지난 2일(현지 시각),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너베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팰컨-9 발사체에 실려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이번 발사로 대한민국은 독자적인 군 정찰위성 운용국으로 도약하며, 한국형 킬체인의 핵심인 상시 감시·정찰 체계를 본격적으로 구축하게 됐다.
이번 425 사업은 EO·IR(전자광학·적외선) 위성 1기와 SAR(합성개구레이다) 위성 4기로 구성된 대한민국 최초의 군 정찰위성 개발 프로젝트다. ‘425’라는 명칭은 SAR(사)와 EO(이오)의 발음을 합성한 숫자에서 유래했다. 방위사업청이 사업을 주도하고 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을 총괄했으며, 한화시스템은 위성의 핵심 장비인 SAR 탑재체 제작과 공급을 담당했다.
한화시스템은 2018년부터 SAR 센서와 데이터링크 제작에 참여하며 2·3·4호기에 이어 이번 5호기까지 안정적으로 SAR 탑재체를 공급했다. 특히 이번 5호기는 SAR 탑재체의 조립·통합·시험과 전자부, 데이터링크 등 핵심 기술 분야에서 국산화가 이루어져 전체 425 위성의 국산화율을 크게 높였다. 한화시스템은 향후 반사판 안테나와 급전 배열 조립체 등 해외 의존도가 높은 부품까지 국내 개발을 추진하며, 완전한 기술 자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의 SAR 탑재체는 고속·대용량 데이터링크를 통해 안정적인 영상 전송을 지원하며, 하루 4~6회 한반도 관측과 짧은 재방문 주기를 가능하게 해 특정 지역의 반복 촬영까지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야간 및 악천후에도 한반도와 주변 지역의 정찰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송성찬 한화시스템 우주사업부장은 “대한민국의 독자 감시정찰 능력 확보 여정에 한화시스템이 함께할 수 있어 자랑스럽다”며 “앞으로도 축적된 위성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가 안보와 국방 우주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화시스템은 지난 10월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에서 0.15(15cm)급 초고해상도로 지구 관측이 가능한 초저궤도 ‘VLEO UHR SAR’ 위성 목업을 최초 공개했으며, AI 기반 위성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선보여 지휘관의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기술력을 선보였다. 이번 5호기 발사는 한국 군 정찰위성 기술의 국산화와 독자 운용 능력을 상징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됐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