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실적 부진 장기화…영업 손실 누적”
![]() |
[일요주간 = 강현정 기자] 홈플러스가 안산선부점과 동청주점의 영업을 종료한다.
현재 홈플러스는 129개 점포를 운영 중인데 이중 총 11개 매장이 폐점을 앞두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전날 사내망을 통해 “안산선부점과 동청주점의 임대 계약기간이 만료돼 영업을 종료한다”고 공지했다.
임대계약 종료 시점에 맞춰 안산시 단원구 안산선부점은 내년 말까지, 청주시 청원구 동청주점은 2026년 상반기까지만 각각 운영할 계획이다.
홈플러스는 두 점포를 비롯해 총 11개 매장의 폐점을 기획하고 있다. 실제로 앞서 홈플러스는 서대전, 안양점, 부천상동점, 동대문점, 내당점, 부산반여점, 광주계림점, 순천풍덕점, 부천소사점 등을 폐점하기로 결정했다.
이어 홈플러스는 지난 2월 부산 서면점을 폐점하기도 했다. 지난달엔 목동점의 문을 닫았다.
실적 부진의 장기화에 따른 영업 손실 누적과 임대 기간 만료로 영업을 종료했다는 것이 홈플러스의 입장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마트노조 측과 사측의 갈등도 깊어지고 있다. 노조는 대주주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투자자 고배당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반발했다.
노조 측은 “동청주점은 전체 점포별 매출 순위에서 하위권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하위 30~40% 점포의 폐점을 예고하는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MBK가 엑시트(투자회수)를 위해 홈플러스의 장기적인 경영 계획보다는 매각을 위해 규모를 줄이고 투자자들에게 약속한 고배당을 지급하는 데만 몰두하고 있다”며 “계속 폐점을 이어간다면 대량 실업 사태로 이어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홈플러스는 지난해 3월1일부터 올해 2월29일까지 1994억원의 영업손실을 거뒀다.
손실 폭은 전년(2602억원)대비 23.4%(608억원) 줄었지만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당기순손실은 전년 4458억원에서 28.8% 확대된 5743억원으로 집계됐다.
'시민과 공감하는 언론 일요주간에 제보하시면 뉴스가 됩니다'
▷ [전화] 02–862-1888
▷ [메일] ilyoweekly@daum.net
[ⓒ 일요주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FOCUS] 상장폐지 위기 내몰린 ㈜위노바 소액주주들의 절규...증권거래소 찾아가 읍소
- [Focus-①] 대한항공 '오너 리스크' 겨냥한 국민연금 주주권 행사...'황제경영' 막을 최후의 보루인가
- [Focus-②] "대한항공 사주, 불법ㆍ탈법 기업가치 훼손"...국민연금은 집행자로 나설까
- 한신평, 홈플러스 신용등급 A3 유지…“실적부진, 재무부담 과중”
- 홈플러스 ‘개인정보 유출’…法, “4명만 배상 인정”
- [FOCUS]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 5년, 비정규직 괴롭힘 악화..."일터 안전 보완 시급"
- [FOCUS] 치과 임플란트 시술 관련 피해 매년 증가...10명 중 6명 시술 부작용 호소
- [FOCUS①] 출산율 '0' 국가소멸 위기...'저출생 해소' 대책 법안 주목
- [FOCUS②] 출산율 '0' 국가소멸 위기...'저출생정책 효율화법' 발의
- [FOCUS] 국회미래연구원 "트럼프 2.0 시대, 대중국 압박 더욱 강화" 전망
- [FOCUS] 매년 학교서 화재 100건 이상 발생, 소방차 진입 못하는 학교 수두룩
- [FOCUS] "방통위, 구글·애플에 부과 예정인 680억 원 과징금 9개월째 표류...정보 주권 포기"
- [FOCUS] '북러 조약' 이후 우리의 대응 전략은?..."북중 관계 훼손, 대중국 관계 개선 필요"
- [FOCUS] "건보공단에 사무장병원 단속 권한 부여"...윤준병, '건보 특사경 도입' 발의
- [FOCUS] 금융부실 경보음, 은행 대출 매월 최고치 갱신...연체금액 11조 8천억원 달해
- 홈플러스 11개 매장 폐점…노조 “MBK, 고배당에만 몰두”
- 건국대생들의 분노 "건국우유·건국대, 불법파견 철폐하라!...노동자 피눈물로 일군 장학금 거부" [FOCUS]
- 소상공인, 경기침체·고금리 시름 속 코로나19 대출 상환 압박에 '이중고' [FOCUS]
- "신한은행, 지점 폐쇄 179 개로 '최다'...고령층 등 금융소비자 접근성 무시" [FOCUS]
- 정혜경 "사모펀드 MBK 인수 이후 홈플러스 부진의 늪에 빠져"...분할매각 논란 증폭 [FOCUS]
- 마트노조 "홈플러스 자본잠식 시작, 제2의 티메프 사태 우려"...정부 개입 촉구
- 이마트 주가 급등,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에 반사 수혜...키움 등 파격 상향
- "MBK, 홈플러스 인수 후 점포・물류창고 매각해 4조원 넘게 챙겼다"...재무구조는 악화일로
- "홈플러스 사태 해결하라" 노동자·입점업체·투자자 MBK 청문회 촉구
- 홈플러스, 신영증권 경영진 고소…“신용훼손 및 명예훼손”
- 메리츠 압박 나선 시민사회 "투기자본 공범이냐, 책임 금융이냐"